한국고용정보원에서 발간한 '2021 신직업보고서'에서 밝히는 신직업 중 오디오북내레이터가 하는 일과 국내 해외현황, 전망 등에 대해서 알아보려고 합니다.
위 연구에서 신직업은 아래와 같이 정의하고 있었습니다.
- 우리나라에 없으나 외국에 있는 직업으로 국내 도입 및 활성화 지원으로 일자리 창출이 가능한 직업
- 국내에 새롭게 나타났거나 인지도가 낮은 직업(혹은 직무)이지만, 향후 시장 확장, 수요 증가, 환경 변화 등으로 일자리 창출이 가능한 직업
- 기존 직업으로 법․제도적으로 정립되지 않았지만, 종사자의 직업적 안정화 등을 위해 정책적 지원 필요성이 있는 직업
생성 배경
오디오북은 최근 출판 시장에서 가장 두드러지게 성장하고 있는 분야이다.
오디오북 시장이 빠르게 성장하고 있는 배경에는 팟캐스트의 활성화, 시각적 피로도의 증가, 인공지능(AI) 기반의 사물인터넷(IoT) 확산, 새로운 재미와 가치의 발견 등을 들 수 있다. 특히 코로나19로 사회적 거리 두기와 비대면 문화가 가속화되고 온라인과 디지털 시장이 급성장하면서 오디오북의 활용성이 더욱 높아지고 있다.
오디오북에 대한 관심이 높고 서비스 사업자들이 늘어나고 있지만 이용할 수 있는 오디오북 콘텐츠는 여전히 부족한 실정이다. 오디오북을 제작하기 위해서는 텍스트를 읽어야 하는데 이 과정에서 상당한 비용이 발생하기 때문에 출판사들은 주로 베스트셀러 중심의 도서들을 선별하여 제작하고 있다. 한 편당오디오북 제작비용은 수백만 원에 달하는데 이 중에서 내레이터 비용이 많은 비중을 차지하고 있다. 업계에서 추정하는 오디오북 평균 제작비용은 700만 원이며, 종이책 비용까지 합하면 1,000만 원을 훌쩍 넘는다(중앙 시사매거진, 2021). 그렇다 보니 출판사들은 오디오북 제작에 신중할 수밖에 없고, 결국 소비자가 이용할 수 있는 오디오북 콘텐츠가 부족하다 보니 시장의 성장이 둔화될 수밖에 없는 악순환이 지속되고 있다.
한국출판문화산업진흥원에서는 매년 우수 오디오북 제작을 위한 실비 지원,‘KPIPA 오디오북 센터’를 통한 오디오북 제작 전용 스튜디오 무료 대여, 오디오북사업 교류회, 출판 아카데미를 통한 오디오북 실무자 양성 교육 등 오디오북시장을 더욱 성장시켜 나가기 위해 다양한 사업들을 추진하고 있다. 오디오북은 음성 콘텐츠이기 때문에 오디오북 제작 시 내레이터를 누 구로선택하느냐는 매우 중요한 문제이다. 내레이터는 도서의 전체적인 맥락을 잘 이해해야 하며 호소력 있는 목소리로 내용을 전달해야 한다. 그래야 청자가 오디오북에 몰입해서 눈으로 읽지 못했던 것들을 들을 수 있다. 이를 통해 작가의 생각이나 의도를 해석해 소통과 공감을 이끌어낼 수 있다.
오디오북내레이터는 주로 성우를 중심으로 이뤄지지만 그 외에도 저자, 배우, 아나운서, 가수, 유튜버 등 다양한 인플루언서를 통해서도 제작되고 있다. 성우를 기용하는 경우는 목소리가 듣기 좋고, 편안하게 내용을 표현하며, 오랜 시간 흔들림 없이 도서 내용을 지속적으로 전달할 수 있다.
반면 저자나 유명 셀럽의 경우는 오디오북 콘텐츠의 품질은 다소 떨어지지만 그들의 팬덤을 확보할 수 있으며 새로운 독자층 확보 차원에서 큰 효과를 얻을 수 있다. 해외의 사례를 보면 역량 있는 일반인도 참여하고 있어 국내에서도 다양한 계층에서 오디오북내레이터에 진입할 수 있도록 저변 확대, 진입장벽 해소, 시장조성과 오디오북에 최적화된 능력을 갖춘 보다 전문적인 오디오북내레이터 양성이 필요할 것으로 보인다.
수행직무
오디오북내레이터는 소설 원고를 콘텐츠 내용에 맞춰 낭독하여 오디오북을 제작한다. 이들은 목소리로 텍스트를 전달하기 때문에 오디오북을 내레이션 하려면 연습, 체력, 열정 등이 필요하다.
따라서 오디오북내레이터에게는 다음과 같은 기술과 능력들이 필요하다.
오디오북은 목소리가 중요하기 때문에 연기, 호흡, 발음 등을 전문적으로 하는 성우의 역할이 크게 중시되고 있다(이은호, 2020).
이처럼 오디오북은 전문내레이터가 책을 읽어주는 형식이기 때문에 단순하게 책 내용만을 읽는 것이 아니라, 책의 전반적인 상황을 이해하고 표현해서 청자가 보다 집중할 수 있도록 스토리를 전달해야 한다. 이것이 오디오북내레이터의 역할이다.
국내현황
국내 오디오북은 2000년 전후부터 시작되었으나 고객으로부터 큰 호응을 얻지는 못했다. 전문 오디오북 내레이터의 부재로 콘텐츠의 품질도 떨어졌고 CD나 USB 형태라서 이용하기에도 불편했다. 하지만 디지털 환경과 기술이 발전하고 시각적 피로도(visual fatigue)가 증가하면서 바쁜 일상 속에서 멀티태스킹이 가능한 오디오북에 대한 관심이 급증하기 시작했고, 2018년부터는 출판 산업의 새로운 성장 동력원으로 오디오북이 주목받게 되면서 오디오북 전성시대가 열리기 시작했다.
인플루엔셜은 윌라 서비스를 오픈했고(2018.4), 팟빵은 오디오북 오픈 플랫폼을 제공했으며(2018.7), 밀리의 서재는 요약 형태의 리딩북 서비스를 오픈했다(2018.7). 네이버는 2017년 5월 KTB네트워크와 총 300억 규모의 오디오콘텐츠 펀드를 결정하여 투자하기도 했으며 오디언소리를 인수하고 오디오클립 서비스를 오픈하기도(2018.8) 했다. 그 외에도 구글은 플레이 스토어(Play Store) 내에 오디오북메뉴를 선보였으며(2018.1), 스웨덴 오디오북 플랫폼 사업자인 스토리텔도 국내시장에서 오디오북 서비스를 오픈하는(2019.12) 등 많은 서비스 사업자들이 나타나기 시작했다.
딜로이트 발표에 따르면 2020년 한국 오디오북 시장 규모는 300억 원대로 추정된다. 세계 최대 오디오북 업체 중 하나인 스토리텔은 한국 오디오 콘텐츠시장이 향후 5년 이내 조 단위로 성장할 것으로 내다봤다(한국일보, 2021). 주요 국내 오디오북 업체(2020. 11월 기준) 유통플랫폼사 7개(교보문고, 밀리의 서재, 스토리텔, 오디언소리, 오디오클립, 윌라, 팟빵)와 총 734개의 출판사가 오디오북을 제작하여 서비스하고 있다(백경현, 2020).
현재 오디오북내레이터로 활동하는 사람은 대체로 성우이다. 한국성우협회에는 약 700여 명의 성우들이 소속되어 있다. 하지만 TV 외화 프로그램이 줄어들고 원어 자막방송이 늘어나는 등 방송 형태의 변화로 성우의 일자리가 크게 위축되고 있는 상황이다. 성우들은 보다 다양한 분야로의 진출을 시도하고 있는데 최근 오디오북 시장이 재조명되면서 오디오북 내레이터로 성우가 새롭게 주목받고 있다. 그런데 성우들은 각자 가지고 있는 캐릭터의 발성법이 불현듯 나타나는 성향들도 있어서 체질 전환이 필요하다. 이처럼 전문적인 오디오북내레이터를 위해서 구자형 성우 주축으로 구성된 북텔러리스트(Book TellerList)나 서혜정낭독 연구소 등이 좋은 낭독 방법에 대한 교육을 실시하고 있다. 현재 오디오북은주로 억양이 자연스럽고 세밀한 묘사가 가능한 전문 성우들 중심으로 제작되고 있다.
출판물의 한 축으로 자리 잡고 있는 오디오북의 가장 큰 걸림돌은 제작비용이다. 성우 인건비에 따라서 차이는 있지만 300페이지 분량의 도서 한 권 당대략 600~800만 원 정도가 소요된다. 여러 명의 성우가 녹음에 참여하게 될 경우는 1,000만 원 이상이 들기도 한다. 이 중에서 내레이터 비용은 약 40~50% 정도이며 최종 오디오북 녹음이 완료된 후 일괄로 정산하는 경우가 대부분이다. 최근에는 오디오북 녹음 시간을 기준으로 비용 책정하는 경우도 나타나고 있다. 성우의 등급에 따라 다르긴 하지만 시간당 10만 원~30만 원정도로 되어 있다.
참고로 문화체육관광부가 2021년 2월에 출판 분야 표준 계약서(문화체육관광부, 2021)를 고시하였는데 오디오북 관련 계약서 4종이 신규로추가되었다. 이 중 <오디오북 저작인접권 이용허락 계약서>에는 성우와 발행사간 체결하는 계약서로 성우가 오디오북을 제작한 이후 정산의 방식을 일괄뿐만 아니라 저작인접권 사용료로도 선택할 수 있는 조항이 추가되었다. 한국출판문화산업진흥원에서는 디지털 출판 산업의 지속적인 발전을 위해 <KPIPA 디지털북 센터 교육 프로그램>을 운영하고 있다. 오디오북과 관련한 교육과정으로는 제작 기술과 내레이터로 나누어져 있다. 12시간씩 연간 2회 진행되며, 주요 교육내용은 다음과 같다.
한국출판콘텐츠에서는 오디오북내레이터 인재풀을 구축하고 합리적인 가격으로 출판사에게 오디오북을 제작해 줄 뿐만 아니라 유통사 배포, 판매, 정산까지 편리하게 이용할 수 있는 AKPC(한국출판 콘텐츠 오디오)를 2020년 4월 오픈했다. 내레이터가 AKPC 플랫폼에 프로필과 목소리 샘플 파일을 등록하면 출판사와 연계되어 다양한 오디션 기회를 얻을 수 있다.
이처럼 오디오북 전문내레이터 인력을 구축하여 제작, 저작권 보호, 유통, 마케팅, 정산까지 제공하고 있다. 또한 1인 창작자 프로그램으로 내레이터가 제작자가 되어 녹음, 편집 등후반 작업도 직접 수행하도록 가이드하기 위한 1:1 교육도 진행하고 있다. 오디오북에 대한 관심이 증가하면서 전문 제작사나 유명 작가, 연예인과 성우를 섭외해 만들던 기존 오디오북과 달리 낭독에 관심 있는 일반인도 자유롭게 참여할 수 있는 사용자 참여형 플랫폼도 늘어나고 있다.
팟빵은 누구든지 오디오북 콘텐츠를 제작・판매할 수 있도록 한 오픈 플랫폼을 2018년에 개설했다. 밀리의 서재는 2021년 1월 사용자가 직접 오디오북을 제작할 수 있는 ‘내가 만든 오디오북’ 서비스를 오픈했다. 사용자는 오디오북 제작이 가능한 책을 골라서 가이드에 따라 본인의 목소리로 읽고 편집하여 새로운 오디오북을 만들 수 있다. 이 결과물을 공개 신청하면 밀리의 서재 검수를 거친 뒤정식으로 서비스된다. 만약 다른 사람이 공개된 오디오북을 재생하게 되면 제작한 사람에게도 구독 수익이 발생된다.
오디오북은 종이책이나 전자책과는 다른 매력을 가지고 있다. 듣는 형태이기 때문에 바쁜 시간 때문에 책에 접근할 수 없었던 고객들에게 새로운 접근 채널이 되고 있다. 그 외에도 오디오북은 독서력을 강화시켜 줄 뿐만 아니라 성우의 목소리를 통해 뛰어난 상상력과 공감력을 증대시킬 수가 있다. 또한, 오디오북은새로운 언어를 배울 때에도 원어민의 발음을 통해 미묘한 억양과 음조까지 훈련할 수 있는 좋은 도구가 될 수 있다. 그리고 정보 습득이 어려운 정보취약층에게도 매우 유용한 지식 채널이 될 수 있다(이은호, 2018).
해외현황
글로벌 오디오북 시장은 미국, 유럽, 중국 중심으로 형성되고 있다. 글로벌 컨설팅 기업인 딜로이트(Deloitte)의 예측 보고서에 따르면 미국의 오디오북 시장은 향후 몇 년간 20~25%의 연간 성장률을 보이며 전 세계에서 가장 큰 시장 점유율(45%)을 유지하고 중국과 함께 전체 글로벌 오디오북 시장의약 75%를 점유할 것으로 전망하고 있다.
미국 시장조사 기관인 그랜드 뷰 리서치(Grand View Research)가 발표한 <2020년 산업 분석 보고서>에 따르면 2019년 전 세계 오디오북 시장 규모는 267억 달러(약 29조 원)이며 2027년까지 연평균 24.4% 상승할 것으로 보고 있다. 또한 미국 출판사 협회(AAP, Association ofAmerican Publishers)에서 발표된 통계 보고서 역시 2018년 오디오북 판매 매출이 2017년 대비 37.1% 증가했고, 이러한 성장세를 감안할 때 심각한 변수가 없는 한 2023년경에는 오디오북 매출이 전자책을 추월할 것으로 예상하고 있다.
미국의 오디오북 시장 점유율 1, 2위는 2016년 기준 아마존과 스크리브리드였으며 매장 규모로는 아마존의 오더블이 1위였다(백경현, 2020). 해외에서는 2010년대부터 콘텐츠 산업에서 오디오북이 연평균 두 자리 이상의 높은 성장률을 보이고 있다. 주로 대형 출판사들이 앞장서서 오디오북을 제작하고 있으며 전문 오디오북 제작 업체나 스타트업들이 꾸준하게 증가하고 있다. 그러면서 이용할 수 있는 오디오북 콘텐츠의 수 또한 지속적으로 증가하고 있다. 미국 오디오 출판협회(APA, Audio Publisher Association) 보고서에 따르면 2020년 미국에서 7만 1천 개 이상의 오디오북이 제작되었으며 이는 2019년보다 39% 증가한 수치이다(Porter Anderson, 2021). 에디슨 리서치(Edison Research)가 18세 이상의 미국 오디오북 청취자들 대상으로 진행한 설문조사 결과에 따르면 연간 청취되는 오디오북의 평균 권수가 2018년 6.8권에서 2019년 8.1권으로 증가했다고 한다.
이처럼 오디오북 시장이 성장하면서 출판사들은 더 다양한 스토리를 담고 있는 책 그리고 책 속 내용과 캐릭터를 잘 표현할 수 있는 내레이터를 찾고 있다. 성별, 연령, 장애 등은 고려하지 않는다. 이처럼 해외에서는 오디오북 내레이터가 새로운 직업군으로서 자리 잡아가고 있다. 또한 오디오북 내레이터를 위한 교육이나 가이드라인이 잘 구성되어 있으며 제작자와의 연결 플랫폼들이 잘 구축되어 있어서 다양한 오디오북이 제작되고 유통될 수 있도록 되어 있다.
펭귄 랜덤하우스(PRH, Penguin Random House)는 보다 포괄적이고 투명한 캐스팅으로 오디오북을 제작할 수 있는 글로벌 내레이터 오디션 플랫폼 에이햅(Ahab)을 오픈했다. 에이햅은 에이전트, 내레이터, 작가, 엔지니어, 프로듀서들을 연결시켜 모든 분야(애니메이션, 다큐멘터리 영화, 팟캐스트, 비디오 게임 등)에서 적합한 성우를 찾고 고용할 수 있도록 도와준다. 2021년 3월 기준 에이햅에는 67개국에서 온 9천 명 이상의 성우가 등록되어 있다(John Maher, 2021). 이들이 캐스팅된 분야를 살펴보면 소설, 논픽션, 아동, 청소년 등 다양하다. 아마존 오더블의 ACX(Audible Creative Exchange) 역시 저자, 출판사, 내레이터, 에이전트를 연결하여 오디오북을 만들 수 있는 마켓 플레이스를 2011년부터 시작했다. 오픈 당시 미국과 영국에서만 이용이 가능했지만 2017년부터는 캐나다와 아일랜드에서도 이용이 가능하다. ACX를 통해 제작된 오디오북은 오더블, 아마존, 애플 북스를 통해 판매되며 내레이터는 다음과 같은 다양한 옵션으로 비용을 제공받을 수 있다.
2004년에 설립된 파인드어웨이(Findaway)는 주로 영미권 오디오북을 B2B나 B2G 시장으로 유통하는 곳이다. 2016년도에는 B2C 시장에도 진출했으며, 2017년에는 오디오북 내레이터와 저자를 연결시켜 주는 파인드어웨이 보이스(Findaway
Voice)를 오픈했다. ACX와는 달리 국가에 제한 없이 전 세계의 작가와 내레이터가 이용할 수 있다.
저자는 파인드어웨이에 책을 올린 뒤 해당 책에 적합하다고 생각되는 내레이터를 선택한다. 오디오북을 제작한 뒤 약 30여 개가 넘는 글로벌채널을 통해 유통된다. 미국의 경우 오디오북내레이터(an audiobook narrator)가 진입하는 방법이 소개되고 있다. 아직 태동기여서 이들에 대한 고용통계 등은 없다. 대부분 프리랜서로 근무한다. 신입의 경우 소규모 출판사의 경우 시간당 50달러, 중대형 업체의 경우 100~350달러를 받는다. 주로 시간제로 근무하고 있으며 경험이 없을 경우 경쟁으로 일거리를 얻을 수 없다는 내용도 있어 아직 태동 중인 것으로 보인다.
활성화 방안
오디오북내레이터가 신규 직업으로 활성화되기 위해서는 다음과 같은 정부의 지원이 필요하다.
첫째, 오디오북 시장이 성장할 수 있도록 정부의 적극적인 관심과 지원이 필요하다.
아직 출판 산업에서 오디오북 시장이 차지하는 비중은 매우 미약하다. 스마트폰이나 AI스피커 등 오디오북을 이용할 수 있는 뉴미디어와 이용 환경은 조성되었지만 오디오북 콘텐츠가 상당히 부족하며 오디오북에 대한 인식이나 이용채널 등이 부족한 실정이다. 일반적으로 시장이 성장하기 위해서는 어느 정도콘텐츠가 뒷받침을 해줘야 한다.
하지만 오디오북을 제작하기 위해서는 상당한 비용이 들어가기 때문에 검증된 베스트셀러 도서 중심으로만 제작되다 보니 소비자 입장에서는 콘텐츠가 부족하고 좀 더 다양성 오디오북을 이용할 수 없다는 불편함을 느끼게 된다. 현재 한국출판문화산업진흥원에서 매년 오디오북 제작지원과 우수 오디오북 콘텐츠 제작지원을 해 오고는 있지만 좀 더 예산을 늘리고 더 다양한 카테고리의 오디오북을 제작할 수 있는 방향으로 지원했으면 한다.
또한 자발적인 오디오북 제작 촉진을 위해 우수 오디오북을 선별하여 시상하고공공 도서관에 지원하는 사업도 함께 추진하는 것이 필요하다. 그래서 오디오북을 이용할 수 있는 채널이 확장되고 이용하다 보면 오디오북에 대한 사용자인식이 좋아질 것으로 보이며 이는 오디오북 시장 확장으로 이어질 것으로 기대된다.
둘째, 오디오북내레이터 캐스팅 플랫폼을 지원한다.
오디오북을 제작할 때 가장 고민하는 부분 중 하나가 도서 내용에 적합한 내레이터를 섭외하는 일이다. 성우를 포함해 매력적인 목소리를 가진 사람들이 많이 있지만 이들을 발굴하고 관리하기가 쉽지 않다. 이를 위해 출판사, 제작사, 내레이터를 연결시켜 줄 수 있는 플랫폼이 있다면 오디오북내레이터를 활성화시키는데 큰 도움이 될 것이다. 저자, 초기 연기자, 성우 지망생, 목소리 좋은 일반인들이 자연스럽게 연결될 것이고 그렇게 되면 제작 가격 경쟁력을 가지는 양질의 오디오북 콘텐츠를 손쉽게 제작할 수 있게 될 뿐만 아니라 다양한 도서에 최적화된 내레이터를 캐스팅하는 데에도 효율적으로 활용될 것이다.
셋째, 전문 오디오북내레이터 양성을 위한 교육을 확대하고 오디오북 내레이터국가자격증 제도화를 추진한다.
오디오북내레이터를 위해서는 보다 체계적인 교육과 훈련이 필요하다. 목소리, 발음, 발성을 개선하기 위한 기교, 순발력, 표현력 등의 능력을 갖춰야 한다. 해외의 경우는 녹음 이후 편집, 마스터링, 인코딩까지도 체계적으로 교육하고 있다. 이처럼 전문 오디오북내레이터 양성을 위해서 보다 전문화된 커리큘럼과 교육 환경을 제공해야 한다. 그리고 오디오북내레이터에 대한 국가자격증을 제도화시켜 이러한 교육과 연계를 시켜 운영해 나간다면 더욱 공신력을 가진전문화된 오디오북내레이터로서 새로운 일자리를 확장시켜 나가는데 큰 도움이 될 것이다.
넷째, 오디오북 시장에 대한 연구와 조사가 필요하다.
현재 오디오북내레이터는 성우 중심으로 이루어져 있다. 배우, 아나운서는 일회성 작업으로 가수는 주목할 만한 활동이 없다. 일반인들을 중심으로 오디오북낭독 콘텐츠들의 성장이 눈에 띄고 성장 추세이다. 그러나 낭독의 품질에서는 부족하고 저작권, 출판사 중심의 접근 등 문제도 해결되어야 한다. 반면, 해외의 경우 다양한 경력자들이 활동하고 있다. 아직은 태동기로 보다 다양한 인력이 오디오북내레이터로 성장하기 위해서는 시장 초기 단계부터 시장 형성을 위한 노력이 요구된다. 조사에 따르면 오디오북 사업 진출 방해 요인으로 ‘오디오북제작비가 많이 듦’, ‘이용층이 두텁지 않음’, ‘제작 유통비용이 많이 듦’ 등으로 나타났다(백경현, 20220). 태동기부터 현황과 구조적 문제 등을 선제적으로 파악하여 지속 가능한 성장 방안을 모색할 필요가 있다.
'미래 신직업' 카테고리의 다른 글
미래직업 웹소설기획자(하는일,국내 해외 현황,전망) (0) | 2023.06.12 |
---|---|
미래직업 온라인공연영상콘텐츠제작자(하는일,국내 해외 현황,전망) (0) | 2023.06.11 |
미래직업 디지털헤리티지전문가 Digital Heritage Specialist (하는일,국내 해외 현황,전망) (0) | 2023.06.07 |
미래직업 문화예술후원매개전문가 (하는일,국내 해외 현황,전망) (0) | 2023.06.03 |
미래직업 라이브커머스 크리에이터 (하는일,국내 해외 현황,전망) (0) | 2023.06.02 |