한국고용직업분류에 대해서 알아보려고 합니다.
한국고용직업분류는 고용 관련 행정 DB나 통계조사자료의 결과를 집계하고 비교하기 위한 통계 목적으로 활용되고 있습니다.
또한 공공 부문의 취업알선 업무에 활용되며 (고용직업분류를 취업알선에 맞게 확장하여 취업알선직업분류로 활용 중),
국가직무 능력표준(NCS), 직업훈련, 국가기술자격, 직업정보 제공, 진로지도 등 고용 실무 전반의 기본 분류 틀로서 활용되고 있다고 합니다.
오늘은 한국고용직업분류 8643 세탁 기계 조작원, 8649 기타 직물ㆍ신발 기계 조작원 및 조립원, 8711 제과ㆍ제빵원, 8712 떡 제조원에 대해서 살펴봅시다.
8643 세탁 기계 조작원
의류, 수건, 이불 등의 섬유제품이나 기타 유사 물품을 세척하는 세탁기계나 건조기, 드라이클리닝기를 조작하는 업무를 한다.
주요 업무
ㆍ 섬유제품의 얼룩이나 오물을 제거하기 위하여 손으로 세탁하거나 용제와 세제를 사용하여 세탁한다.
ㆍ 드라이클리닝이 필요한 경우 세탁물을 드라이클리닝기에 넣고 세탁 방법, 시간, 회전수 등을 조정하는 계기를 작동하며 세탁이 완료되면 용제를 회수하기 위해 드라이클리닝의 여과 장치를 조작한 후 건조장치를 가동하여 물기를 제거한다.
ㆍ 세탁, 건조된 세탁물을 종류와 형태에 따라 주름을 잡아주고 여러 형태의 받침판을 사용하여 광택과 탄력을 준다.
ㆍ 다림질이 끝나면 의류의 각 부위를 점검하여 다림질 상태를 확인하고 옷걸이에 건다.
분류 시 유의사항
ㆍ 소규모 세탁소나 호텔에서 세탁 업무를 하는 경우에는 ‘5615 세탁원(다림질원)’ 으로 분류한다.
ㆍ 세탁공장이나 의류제조업체 등에서 대형 세탁기나 건조기, 드라이클리닝기를 전문적으로 조작하거나 다림질 기계를 전문으로 다루는 경우에는 ‘8643 세탁 기계 조작원’으로 분류한다.
직업 예시
ㆍ다림질기조작원
ㆍ대형세탁기조작원
ㆍ드라이크리닝원
ㆍ세탁건조기조작원
ㆍ축융기조작원
ㆍ호부처리기조작원
표준직업분류 연계 코드 : 8230 세탁 관련 기계 조작원
8649 기타 직물ㆍ신발 기계 조작원 및 조립원
직물이나 신발 제조 등에 필요한 기계조작 및 조립 관련 직무를 수행하지만 상기 세분류 직업들 어디에도 포함되지 않는 직업이 여기에 포함된다.
주요 업무
가발식모원
ㆍ 가발을 제조하고자 일정량의 모발을 스킨(skin)에 심어주는 기계를 조작한다.
가죽면취원
ㆍ 가죽을 용도에 따라 최종 두께로 깎아주기 위해 세이빙기계(shaving machine)를 조작한다.
가죽제품조립원
ㆍ 가죽제품에 장식품을 부착하는 등 마무리 작업을 한다.
매트리스조립원
ㆍ 스폰지와 스프링판을 조립하여 매트리스를 제조한다.
모피선별원
ㆍ 모피 원피를 부피, 색상, 질감, 명암, 종류 등에 맞춰 한 벌 분량을 묶어 분류하고 다시 부위별로 원피를 골라 분류하는 작업을 수행한다.
원단재단기조작원
ㆍ 연단한 원단을 자동으로 재단하는 자동재단기를 조작한다.
자동차시트제조원
ㆍ 원단을 재단하고 봉제하여 자동차 시트커버 및 허리 쿠션 등을 제조한다.
분류 시 유의사항
ㆍ ‘8649 기타 직물ㆍ신발 기계 조작원 및 조립원’에는 직물이나 신발 제조와 관련된 기계조작 및 조립 관련 직업들이 포함되며, 섬유, 가죽 등의 재료를 활용하여 다양한 제품의 생산과 관계된 수작업 기능적 직무를 수행하는 경우는 ‘8629 기타 섬유ㆍ가죽 기능원’으로 분류한다.
직업 예시
ㆍ가발베이스제조원
ㆍ가죽도장공
ㆍ가죽염색기조작원
ㆍ끈제조기조작원
ㆍ링킹기계조작원
ㆍ매트리스제조기조작원
ㆍ모피제육기조작원
ㆍ모피처리기조작원
ㆍ모피혼합기조작원
ㆍ무두질기조작원
ㆍ문양지펀칭기조작원
ㆍ밧줄제조기조작원
ㆍ버핑기조작원
ㆍ셔츠홀딩기조작원
ㆍ원단재단기조작원
ㆍ원피제모기조작원
ㆍ원피제육기조작원
ㆍ원피처리기조작원
ㆍ자동재단기조작원
ㆍ제모기조작원
ㆍ회전드럼조작원
ㆍ시트제품제조원
표준직업분류 연계 코드 : 8229 기타 직물 및 신발관련 기계 조작원 및 조립원
8711 제과ㆍ제빵원
밀가루, 쇼트닝, 설탕, 소금, 팽창제, 물 등을 배합하고 제빵용 기계와 기구를 이용하여 반죽, 성형, 굽기, 장식 등의 과정을 거쳐 빵을 만들거나 케이크, 파이, 과자 등을 제조하고 장식하는 업무를 한다.
주요 업무
ㆍ 제품의 배합표에 따라 각종 재료를 계량하고 손 작업 또는 혼합기를 사용하여 반죽을 완성한다.
ㆍ 일정한 온도, 습도하에서 규정된 시간 동안 발효시킨다.
ㆍ 손 작업 또는 기계로 반죽을 성형하고 숙성시킨다.
ㆍ 오븐에 넣고 온도와 시간을 조절하여 굽는다.
ㆍ 냉각기를 사용하거나 자연 상태에서 제품을 냉각시킨다.
ㆍ 제품의 종류에 따라 크림, 잼 등으로 장식하고 손 작업 또는 기계로 포장한다.
분류 시 유의사항
ㆍ 제과 체인점에서 빵을 전혀 만들지 않고 숙성된 빵 재료를 본사로부터 받아 오븐으로 구워 진열하고 판매만 하는 경우는 ‘5321 패스트푸드원’으로 분류한다.
직업 예시
ㆍ쇼콜라티에
ㆍ슈가크래프터
ㆍ제과사(제과원)
ㆍ제빵반장
ㆍ제빵사(제빵원)
ㆍ파티셰
표준직업분류 연계 코드 : 7101 제빵사 및 제과원
8712 떡 제조원
시루떡, 인절미, 경단 등 각종 한식 떡을 제조하기 위하여 찹쌀, 쌀, 콩, 팥 등 재료를 분쇄하여 반죽하고 증자ㆍ성형하는 장비를 조작하거나 손으로 모양을 만든 후 고물이나 설탕 등 첨가물을 넣고 찌거나 익히는 업무를 한다.
주요 업무
ㆍ 제품의 종류에 따라 필요한 재료를 수동저울로 계량한다.
ㆍ 상자나 통에 재료를 넣고 물을 투입하여 세척한다.
ㆍ 수동 핸들을 돌려 분쇄기의 롤러 간격을 조정한다.
ㆍ 분쇄기를 가동하고 호퍼의 배출구를 열어 세척한 재료를 일정한 입도로 분쇄한다.
ㆍ 반죽 통에 분쇄한 가루와 소금, 설탕, 첨가물을 투입한 후에 적당한 점도를 가지도록 물 등을 넣어 반죽한다.
ㆍ 혼합한 재료를 증자하기 위하여 증기 솥에 일정량 넣고 증기 밸브를 돌려 증기 솥을 가열한다.
ㆍ 일정 시간 가열하여 증자가 완료되면 뚜껑을 열고 절구에 투입한다.
ㆍ 일정 시간 절구질하고 견본을 채취하여 떡의 점도와 탄성을 확인한다.
ㆍ 작업대 위에 떡을 올려놓고 제품 형태에 따라 소를 넣으며 형틀로 눌러 모양을 만든 후 기름을 바르거나 고물을 묻힌다.
직업 예시
ㆍ강정제조원
ㆍ한과제조원
표준직업분류 연계 코드 : 7102 떡 제조원
한국고용직업분류 (8634 의복ㆍ가죽ㆍ모피 수선원, 8639 기타 의복 제조원, 8641 제화원, 8642 신발 제조기계 조작원 및 조립원)
한국고용직업분류 (8634 의복ㆍ가죽ㆍ모피 수선원, 8639 기타 의복 제조원, 8641 제화원, 8642 신발 제
한국고용직업분류에 대해서 알아보려고 합니다. 한국고용직업분류는 고용 관련 행정 DB나 통계조사자료의 결과를 집계하고 비교하기 위한 통계 목적으로 활용되고 있습니다. 또한 공공 부문의
nevermind.tistory.com