한국고용직업분류에 대해서 알아보려고 합니다.
한국고용직업분류는 고용 관련 행정 DB나 통계조사자료의 결과를 집계하고 비교하기 위한 통계 목적으로 활용되고 있습니다.
또한 공공 부문의 취업알선 업무에 활용되며 (고용직업분류를 취업알선에 맞게 확장하여 취업알선직업분류로 활용 중),
국가직무 능력표준(NCS), 직업훈련, 국가기술자격, 직업정보 제공, 진로지도 등 고용 실무 전반의 기본 분류 틀로서 활용되고 있다고 합니다.
오늘은 8621 패턴사, 8622 재단사, 8623 재봉사, 8629 기타 섬유ㆍ가죽 기능원에 대해서 살펴봅시다.
8621 패턴사
패션디자이너의 스케치나 작업지시서에 따라 의류의 패턴(기본모형)을 제작하는 업무를 한다.
주요 업무
ㆍ 작업지시서의 디자인을 보고 패턴을 종이에 그린다.
ㆍ 원단 재질의 축소 여부를 확인하고 패턴제작에 반영한다.
ㆍ 패턴에 치수와 모양 등의 내용을 명시한다.
ㆍ 체형이나 크기에 따라서 각기 다른 크기의 패턴을 그리기도 한다.
ㆍ 옷감 위에 패턴의 윤곽을 그리기 위하여 재단용 초크로 패턴 둘레를 따라 그리기도 한다.
직업 예시
ㆍ가죽패턴사
ㆍ모피패턴사
ㆍ신발패턴사
ㆍ옷본제조원
ㆍ의복패턴사
ㆍ직물패턴사
ㆍ패턴제작원
표준직업분류 연계 코드 : 7211 패턴사
8622 재단사
직물, 모피, 가죽 등을 원하는 모양의 제품으로 생산하기 위해 재단선을 표시하고 재단기를 조작하여 자르고 구멍을 내 표시하며 정리하는 업무를 한다.
주요 업무
ㆍ 패턴 부품의 수량, 형태, 규격과 요구되는 재료의 형태와 양을 결정하기 위하여 도면, 견본, 디자인명세서를 검토한다. 원단 위에 포켓이나 단추의 위치, 조립선을 표시하고 재단, 재봉을 한다.
ㆍ 재료를 재단, 정리, 표시, 구멍 내기 등을 하기 위하여 재료와 가위, 칼, 기타 관련기계를 기술적으로 취급한다.
ㆍ 기계의 가이드 절단 날과 기타 장치를 조정한다.
ㆍ 완성품의 결함을 조사하고 설정된 표준과 비교한다.
직업 예시
ㆍ가죽재단사
ㆍ갑피재단원
ㆍ구두재단사
ㆍ모피재단사
ㆍ의복재단사
ㆍ재단검사원
표준직업분류 연계 코드 : 7212 재단사
8623 재봉사
직물, 모피, 가죽 등의 재료로 의복이나 기타 직물 제품을 재봉기를 사용하여 실로 바느질하는 업무를 한다.
주요 업무
ㆍ 천연섬유를 준비하고 합사, 연사, 권사의 과정을 거쳐 실로 만드는 방적을 한다.
ㆍ 직조, 편조, 기타 방법으로 직물을 제조한다.
ㆍ 양복, 양장 등 의복을 제조한다.
ㆍ 모피제품을 제조, 개조, 수선한다.
ㆍ 견본 제조, 직물 또는 유사 제품에 표시, 재단한다.
ㆍ 재봉기로 직물, 기타 재료를 봉제한다.
ㆍ 가구 장식물, 매트리스를 제조한다.
ㆍ 의복이나 기타 직물 제품을 제조하기 위해 각종 재봉기를 조작한다.
ㆍ 모피재봉사는 패턴과 원피를 준비해서 패턴의 길이만큼 길이를 늘리거나 폭을 넓힌다. 개별 재봉이 끝나면 부위별로 조립하여 재봉한다.
ㆍ 가죽재봉사는 가죽부분품에 따라 실의 종류, 재봉땀 수, 실의 조임 상태를 결정하고 재봉틀의 가동 페달을 밟아 재단물과 부속물을 재봉질한다.
분류 시 유의사항
ㆍ 기계를 자수를 놓는 경우는 ‘8623 재봉사’로 분류하고, 손으로 직접 자수를 놓는 경우는 ‘8629 기타 섬유ㆍ가죽 기능원’으로 분류한다.
직업 예시
ㆍ가죽제품재봉사
ㆍ기계자수사
ㆍ모자재봉원
ㆍ미싱사
ㆍ봉제원
ㆍ신발재봉원
ㆍ직물재봉사
ㆍ컴퓨터자수원
표준직업분류 연계 코드 : 7213 재봉사
8629 기타 섬유ㆍ가죽 기능원
섬유, 가죽 등의 재료를 활용하여 다양한 제품의 생산과 관계된 수작업 기능적 직무를 수행하지만, 상기 세분류 직업들 어디에도 포함되지 않는 직업이 여기에 포함된다.
주요 업무
ㆍ 손 작업이나 수동기계를 이용하여 양모, 면화, 아마, 황마, 대마, 기타 천연섬유를 선별하고 분류한다.
ㆍ 수동직기로 평직 또는 무늬직, 레이스, 카펫, 기타 직물을 직조한다.
ㆍ 매듭기법으로 카펫을 짠다.
ㆍ 가구 틀에 스프링을 장치하고 속에 솜을 넣어 커버를 씌운다.
ㆍ 섬유, 피혁, 유사 제품 등의 안락기구 또는 내부 장식을 낮추고 장식한다.
분류 시 유의사항
ㆍ ‘8629 기타 섬유ㆍ가죽 기능원’에는 섬유, 가죽 등의 재료를 활용하여 다양한 제품의 생산과 관계된 수작업 기능적 직무를 수행하는 직업들이 포함되며, 직물이나 신발 제조와 관련된 기계조작 및 조립 관련 직무를 수행하는 경우는 ‘8649 기타 직물ㆍ신발 기계 조작원 및 조립원’으로 분류한다.
직업 예시
ㆍ가발제조원
ㆍ뜨개질원
ㆍ섬유선별원
ㆍ손자수원
ㆍ수날염원
ㆍ수편물원(수공)
ㆍ카펫제조원(수공)
표준직업분류 연계 코드 : 7219 기타 섬유 및 가죽 관련 기능 종사원
한국고용직업분류 (8611 섬유 제조기계 조작원, 8612 직조기ㆍ편직기 조작원, 8613 표백ㆍ염색기 조작원)
한국고용직업분류 (8611 섬유 제조기계 조작원, 8612 직조기ㆍ편직기 조작원, 8613 표백ㆍ염색기 조
한국고용직업분류에 대해서 알아보려고 합니다. 한국고용직업분류는 고용 관련 행정 DB나 통계조사자료의 결과를 집계하고 비교하기 위한 통계 목적으로 활용되고 있습니다. 또한 공공 부문의
nevermind.tistory.com