한국고용직업분류에 대해서 알아보려고 합니다.
한국고용직업분류는 고용 관련 행정 DB나 통계조사자료의 결과를 집계하고 비교하기 위한 통계 목적으로 활용되고 있습니다.
또한 공공 부문의 취업알선 업무에 활용되며 (고용직업분류를 취업알선에 맞게 확장하여 취업알선직업분류로 활용 중),
국가직무 능력표준(NCS), 직업훈련, 국가기술자격, 직업정보 제공, 진로지도 등 고용 실무 전반의 기본 분류 틀로서 활용되고 있다고 합니다.
오늘은 8631 한복 제조원, 8632 양장ㆍ양복 제조원, 8633 모피ㆍ가죽의복 제조원에 대해서 살펴봅시다.
8631 한복 제조원
고객의 주문에 따라 한복 원단의 종류와 색상을 정한 후 고객의 치수를 재어 알맞은 바느질법으로 저고리, 치마, 두루마기, 마고자, 버선 등의 한복을 제조하는 업무를 한다.
주요 업무
ㆍ 한복 제조 시 직물의 종류, 색상, 원단의 실용성,디자인에 관하여 고객과 상의한다.
ㆍ 줄자로 고객의 몸 치수를 재고 명세서에 규격, 색상, 직물의 종류, 본 등을 기록한다.
ㆍ 명세서에 따라 재단대 위에 직물을 펼쳐놓고 자, 연필, 초크로 표시한다. 표시 부위를 따라 가위나 칼로 재단한다.
ㆍ 재단 후 다음 공정이 용이하도록 초크로 표시한다.
ㆍ 부분품 및 명세서에 따라 실의 색깔을 선택하고 재봉틀로 재봉을 하거나 손바느질을 한다.
ㆍ 가위나 칼로 불필요한 실을 제거하고 다림질한다.
ㆍ 다리미로 주름진 곳과 구겨진 곳을 펴서 한복을 완성한다.
ㆍ 고객의 주문에 따라 한복의 옷감에 수를 놓기도 하며 그 외 여러 가지 장식을 하기도 한다.
ㆍ 고객의 주문에 따라 한복을 수선하기도 한다.
직업 예시
ㆍ한복수선원
ㆍ한복사
표준직업분류 연계 코드 : 7221 한복 제조원
8632 양장ㆍ양복 제조원
고객의 주문에 따라 적절한 천과 디자인을 정한 후 고객의 치수에 맞는 남성용, 여성용 의복을 제작하는 업무를 한다.
주요 업무
ㆍ 천의 종류와 스타일을 고객과 상의한다.
ㆍ 줄자로 치수를 재고 기록한다.
ㆍ 기존 양식을 복제하거나 디자인을 새로 개발한다.
ㆍ 직물 위에 칼라, 소매, 몸체 등의 원형 본을 놓고 핀으로 꽂는다.
ㆍ 시접선 가장자리를 따라 가위로 직물을 자른다.
ㆍ 재단한 것을 시침질하거나 재봉틀을 조작하여 의복 부분품을 접합한다.
ㆍ 고객에게 시침질한 의복을 입혀 보고 수정할 부분을 표시한다.
ㆍ 의복을 수정하고 각 부분을 봉제하여 의복을 완성한다.
ㆍ 솔기를 매끄럽게 하고 주름을 펴기 위하여 손 다림질을 한다.
ㆍ 고객의 치수에 따라 표준 원형 본을 제도하고 주문에 따라 본을 개조하기도 한다.
ㆍ 고객이 제시한 본에 따라 의복을 제조하기도 한다.
직업 예시
ㆍ양복사
ㆍ양장사
ㆍ웨딩드레스제조원
표준직업분류 연계 코드 : 7222 양장 및 양복 제조원
8633 모피ㆍ가죽의복 제조원
모피, 가죽 등의 원단을 이용하여 디자인을 선택한 후 고객의 치수에 맞는 재킷, 바지, 코트 등의 모피 또는 가죽 의복을 제작하는 업무를 한다.
주요 업무
ㆍ 가죽 원단을 사용하여 각종 의복을 제작한다.
ㆍ 수봉이 끝난 제품에 부착물을 달고 잡털을 제거한 후 다림질하여 모피의복을 마무리한다.
직업 예시
ㆍ가죽검사원
ㆍ가죽무두질원
ㆍ가죽염색원
ㆍ가죽의복제조원
ㆍ모피검사원
ㆍ모피선별사
ㆍ피혁가공원
ㆍ피혁제조원
표준직업분류 연계 코드 : 7223 모피 및 가죽 의복 제조원
한국고용직업분류 (8621 패턴사, 8622 재단사, 8623 재봉사, 8629 기타 섬유ㆍ가죽 기능원)
한국고용직업분류 (8621 패턴사, 8622 재단사, 8623 재봉사, 8629 기타 섬유ㆍ가죽 기능원)
한국고용직업분류에 대해서 알아보려고 합니다. 한국고용직업분류는 고용 관련 행정 DB나 통계조사자료의 결과를 집계하고 비교하기 위한 통계 목적으로 활용되고 있습니다. 또한 공공 부문의
nevermind.tistory.com