직업의 세계

낙농 및 사육종사자(하는일, 업무환경, 되는법, 학과, 전망)

하루하루77 2023. 8. 22. 11:23
반응형

낙농 및 사육종사자가 하는 일, 업무환경, 되는 법, 관련학과, 전망 등 그들의 세계에 대해서 살펴보려고 한다.

 

낙농 및 사육 종사자는 소, 양, 돼지, 산양, 말 등과 같은 가축을 사육하며 낙농제품을 생산하는 데 필요한 활동을 기획하고 수행한다.

 

본자료는 고용노동부와 한국고용정보원에서 발간한 2019년 한국직업전망에서 찾아보았다.

 

 

낙농-사육종사자-하는일-업무환경-되는법-학과-전망
낙농 및 사육종사자의 세계

 

 

 

 

 

 

 

 

 

 

 

 

 

 

 

 

하는 일

젖소를 사육하는 낙농인은 우유 생산을 위해 아침과 저녁 하루 2번씩 착유기로 우유를 짜내며 자체 집유 탱크에 모은 우유를 유가공 업체에 공급한다.

 

착유 전에는 젖소의 유방을 깨끗이 닦아 주어야 하며, 착유 후에는 우유통, 착유기 등을 세척·소독하고, 젖소 가질 병에 걸리지 않도록 우사를 청결하게 관리해야 한다.

 

젖소의 건강상태에 따라 우유의 질이 크게 달라지기 때문에 평소젖소의 건강상태를 점검해야 하며 주기 별로 예방접종을 실시한다.

 

또한 사료와 기후에 따라서도 우유의 질이 달라질 수 있으므로 사료 배합에 신경 써야 하며, 여름과 겨울철에는 축사온도를 적절하게 유지·관리해야 한다.

 

소, 돼지, 말 등의 가축을 기르는 사육종사자는 가축에게 주기적으로 사료나 건초를 먹이고, 질병에 걸리지 않도록 분뇨를 청소하고 방역활동 및 각종예방접종을 시의적절하게 실시한다.

 

또한 가축이 새끼를 낳을 때는 분만과 산후관리를 돕기도 한다.

 

가축의 비육 상태에 따라 고기의 등급이 달라질 수 있기 때문에 가축의 질병을 예방하고 건강 상태를 잘 관리해야 한다.

 

만약 전염병 등 질병에 걸린가 축이 있으면 처분 또는 격리조치하고, 축사의 청결유지와 전염병확산방지를 위해 각별히 주의가 필요하다.

 

적정연령과 체중에 도달한 가축을 선별하여 축산물 공판장 등에 출하한다.

 

양계장에서 닭고기나 계란을 생산하기 위해 닭을 기르는 사육 종사자는 병아리에게 사료와 물을 주어 기른다.

 

고기 생산이 목적인 육계(肉鷄)는 병아리에서 출하까지 보통 40~45일 정도가 걸리므로, 그 기간에 닭이 질병에 걸리지 않도록 신경을 써야 한다.

 

계란생산이 목적인 산란계는 하루에 한 번 알을 잘 낳도록 계사 내의 조명, 온도, 습도를 잘 유지해야 한다.

 

 

 

 

 

 

 

 

업무환경

낙농 및 사육종사자의 업무는 일년 내내 가축을 돌보는 것이다.

 

업무 특성상 날씨와 상관없이 야외작업을 해야 하는 등 육체적으로 힘든 일이 많다.

 

그러나 시설 자동화·기계화의 진전으로 육체적 어려움이 크게 감소되는 추세이다.

 

가축과 더불어 생활하기 때문에 가축분뇨나 전염병 등에 의한 오염물질에 노출되기 쉬운 환경이다.

 

따라서 시설의 청결에 늘 유의해야 한다.

 

작업시간은 고용된 근로자의 경우일 수 및 시간이 정해져 있으나 자영인 경우는 계절과 상관없이 매일 일을 해야 하고 아침부터 밤까지 장시간 일을 할 때가 많다.

 

낙농업 관련종사원은 남성비율이 높고, 50 대 근로자의 비율이 높다. 학력은 고졸이하인 경우가 많다.

 

가축 사육 종사원은 남성 비율이 높고, 60대 이상 근로자의 비율이 높다. 학력은 고졸 이하인 경우가 많으며, 종사자의 임금 중앙값은 월 230만 원으로 나타났다.

 

기타 사육 관련종사원은 남성비율이 높고, 60대 이상근로자의비율이 높다. 학력은 고졸이하인 경우가 많으며, 종사자의 임금 중앙값은 월 180만 원으로 나타났다.

 

 

 

 

 

 

 

되는 법

살아있는 가축이나 사람의 먹거리와 관련된 일을 하므로 가축의 사육,번식,사료,질병 등에 대한 기본적인 지식을 가지고 있어야 한다.

 

따라서 농업계 특성화 고등학교의 축산과, 전문대학 및 대학교의 축산 관련 학과에서 전문적인 교육을 받는 것이 취업에 유리하다.

 

농업계 특성화 고등학교의 축산과, 축산운영과 등에서는 가축관리, 번식, 방역, 사료제조, 축산가공 등에 대해 배운다.

 

전문대학 및 대학교에서는 동물생리학, 동물영양학 등의 기초이론과 유전학, 사료학, 번식학, 축산경영학 등을 배운다.

 

기업형 목장, 양돈장, 양계장, 유가공업체 등에 취업하거나 자신이 업체를 직접 경영할 수도 있다.

 

축산단체나 학회, 사료회사, 동물약품회사 등에 취업하기도 한다.

 

 

 

 

 

 

-관련학과-

축산학과,동물자원학과,낙농학과,축산경영학과 등

 

 

 

 

 

 

-관련자격-

축산기술사/기사/산업기사/기능사(이상한국산업인력공단), 가축인공수정사(이상농림축산식품부)

 

 

 

 

 

 

 

 

 

 

 

 

 

 

 

 

 

 

 

 

 

 

 

 

-적성 및 흥미-

실외에서 일하는 경우가 많아 신체적으로 건강하고 인내심이 있어야 한다.

 

가축의 생명과 위생을 다루기 때문에 꼼꼼하고 성실하여야 하며, 무엇보다 동물을 좋아하는 성격이 필요하다.

 

사육 및 낙농 관련 기계장비를 다룰 수 있어야 하고, 사소한 고장은 스스로 수리할 수 있어야 한다.

 

이 밖에 동식물에 대한 지식과 동물질병, 경영 등에 관한 지식을 갖출 필요도 있다.

 

 

 

 

 

 

전망

향후 10년간 낙농 및 사육 관련 종사자의 고용은 다소 감소할 것으로 전망된다.

 

「2016~2026중 장기인력수급전망」(한국고용정보원, 2017)에 따르면, 축산 및 사육종사자(낙농업 관련종사원, 가축사육종사원)는 2016년 약 68천 명에서 2026년 약 58 천명으로 향후 10년간 10천 명(연평균 –1.5%) 정도 감소하는 것으로 나타났다.

 

연도별 축산농가수변화를 살펴보면, 2010년 8만 1천 가구에서 2017년 5만 4천 가구로 감소하였다.

 

축산농가 수가 감소한 이유는 대외적 요인과 대내적 요인으로 구분해 볼 수 있다.

 

대외적 요인은 타국과의 자유무역협정(FTA) 체결이 확대됨에 따라 축산물 시장개방 폭이 확대되고 있다. 이에 더하여 사료 및 축산기계나 시설 등 원자재 가격의 상승으로 인해 국내 축산 농가들은 경쟁력 약화와 생산활동 위축의 어려움을 겪고 있다.

 

대내적 요인을 보면, 가축사육 제한 등을 골자로 한 환경부의 ‘가축분뇨 관리 선진화 대책’ 시행 (2012년), 지자체별 가축사육 제한거리와 지역 조례 제정에 따른 축사 신·증축 제한 등 축산업에 대한 규제 강화가 축산농가의 감소를 부추기는 요인이 되고 있다.

 

또한 고병원성조류인플루엔자 (HPAI)와 구제역(FMD)의 연중 상시 발생으로 축산농가의 어려움이 가중되고 있다. 이상의 대내외 요인들로 인해 축산업계에서 청년층이 떠나고 있고 또 청년층의 신규진입을 어렵게 하고 있다.

 

축산농가에서 청년층감소에 더 해 빠르게 진행되는 고령화는 장기적으로 축산업종사자의감소에 주요 요인이 될 것이다. 우리나라 65세 이상 농가인구비율은 1997년부터 2016년까지 연평균 1.1% p 증가하였으며, 향후에도 지속적으로 증가하여 2017년 41.2%에서 2027년 49.6%로 이러한 추세가 향후에도 지속될 전망이다.

 

한편, 대외경쟁력강화를 위해 축산생산의 대규모화와 시설자동화, 스마트팜 구축 등을 추진하면서 필요 인력의 감축이 이루어지고 있다. 다만, 정부와 관련단체에서는 환경을 고려한 설비 마련, 축산농가의 규모화, 육류브랜드화 및 질병 관리 강화 등 고품질의 육류 생산, 건강을 생각하는 소비자를 목표로 한 친환경·유기농 축산기법 도입, 축산업에 관광·문화·유통·식품·첨단기술 등을 접목한 축산업계의 6차 산업화 추진 등을 통해 축산농가의 어려움을 타개하기 위한 노력을 기울이고 있다.

 

또한 말산업이나 곤충산업(식용, 관상용, 교육용 등)과 같은 기존의 전통 축산분야가 아닌 분야에서 산업활성화가 이루어지고 있고, 토종축산종자의 복원 등 새로운 수입원이 개척되고 있다는 점은 고용전망에 긍정적 요인이 되고 있다.

 

종합하면, 각종 정부의 축산업 지원 노력에도 불구하고 농가인구의 고령화와 청년층의 진입기피, 축산농가의 경쟁력약화로 향후 10년간 낙농 및 사육종사자의 취업자수는 다소 감소할 것으로 전망된다.

반응형