직업의 세계

전기기기·제품개발기술자(하는일,업무환경,되는법,학과,전망)

하루하루77 2023. 4. 20. 16:26
반응형

전기기기·제품개발기술자는 전기제품 및 부품, 장비 등을 설계·개발하고, 기술적으로 검증하여 양산용 도면을 작성하는 전기기기·제품개발기술자!!

 

전기기기·제품개발기술자가 하는 일, 업무환경, 되는 방법, 관련학과, 전망 등 그들의 세계에 대해서 알아보려고 한다. 본자료는 고용노동부와 한국고용정보원에서 발간한 2022 한국직업전망에서 찾아보았다.

 

 

전기기기·제품개발기술자-하는일-업무환경-되는법-학과-전망
전기기기 제품개발기술자의 세계

 

 

 

 

 

 

 

 

 

 

 

 

 

 

하는일

전기기기·제품개발기술자는 새로운 종류의 전기장비 개발, 기존 제품의 기능 변경, 양산 중인제품의 설계 등을 위해 각종 첨단기술 정보를 수집·검토하고, 기술연구, 테스트, 실험 등을 수행한다.

또한 고효율 전동기, 변압기 등의 대용량 전기기기 변환장치를 비롯해 반도체 장비, 전지 등의 소용량 전기기기와 부품을 개발·생산하고 이를 검사·평가한다.

전기기기 및 제품의 개발과정을 살펴보면 다음과 같다.

  • 첫째, 각종 전기장비의 기능과 수명과관련한개발계획에근거해설계사양서를작성한다.
  • 둘째,설계모형제작을위한금형을주문하고그에 따른 모형을 제작한다.
  • 셋째, 개발계획서와 모형을 심사받는다.
  • 넷째, CAD를 이용하여 본설계도면을 작성한다.
  • 다섯째, 제작된 전기장비, 제품과 부품의 성능이나 치수, 생산성 등을 검증한다.
  • 여섯째, 설계도면으로 인한 오류나 제품의 하자를 재검토하고 수정하여 재발주한다.
  • 일곱째,최종 검사에 합격한 제품에 대한 양산도면을 작성하여 발주한다.
 
 
 
 

업무환경

전기기기·제품개발기술자는 연구와 개발 업무를 수행하므로 주로 실내실험실에서 일하는 편이다.

실험실에서는 실험과정에서 전기장비를 다루는 경우가 많고 기본적으로 전기를 다루기 때문에 수 있어

 

전기기기 및 제품을 개발하는 과정에서 제품의사양과 기능등의 개발이나 개선을 위해 회의를 하거나 발표하는 경우도 있다.

 

실내 근무과정에서 앉아서 일하고 빅데이터분석 등의 업무처리도수 행한다.

 
 

 

 
 
 
 

되는 법

전문대학 및 대학교에서 전기공학을 전공하거나, 전자공학, 정보통신공학, 재료공학(반도체, 소자 등),기계공학 등을 전공한 사람들이 진출하기도 한다.

대학에서는 전기에 대한 이론뿐 아니라 각종 장비 및 부품에 대한 설계, 시공에 대한 실험·실습을 병행한다.

 
 
 

 

 

 
 

-관련 학과-

전기공학과, 전기전자공학과, 전자컴퓨터공학과, 전자유도기술학과, 디지털디스플레이공학과, 제어계측공학과, 시스템제어공학과, 전기설비과, 원자력공학과, 전자공학과, 정보통신공학과, 컴퓨터정보공학과, 재료공학과, 기계공학과등

 
 
 
 
 
 

-관련 자격-

전기기능장/기사/산업기사/기능사, 전기공사기사/산업기사, 정밀측정산업기사/기능사, 전기안전기술사,전기응용기술사, 메카트로닉스기능장/기사/산업기사, 정보기기운용기능사, 정보통신기술사/기사/산업기사, 전파전자통신기사/산업기사/기능사

 
 
 
 
 
 
 
 
 
 
 

 

 

 

 

 

 

-적성-

전기기기 및 제품 등을 연구·개발해야 하므로 분석적 사고와 탐구적 성격, 혁신성이 필요하다.

전기를 다루는 과정에서 안전사고가 발생할 수 있으므로 주의력이 뛰어나고 꼼꼼한 성격도 요구된다.

 

업무수행능력에서는 기술설계, 조작 및 통제 능력, 장비선정, 창의력 등이 요구된다.

 

지식부문은 수학, 물리학 등의 이학 기초과목과 공학과 기술, 컴퓨터와 전자공학, 상품 제조 및 공정, 기계,화학, 디자인, 영어 등이 중요하다.

 

호기심을 가지고 관찰하는 것을 좋아하고, 상징적이고 체계적이고 창조적인 활동을 요하는 조사나 연구활동을 선호하는 탐구형흥미유형이 업무 수행에 적합하다.

 
 

 

 
 
 
 
 
 
 

-경력개발-

전기기기·제품개발기술자는 전기장비 제조업(전동기, 발전기 및 전기변환·공급·제어 장치 제조업, 일차전지 및 축전지 제조업, 절연선 및 케이블 제조업, 전구 및 조명장치 제조업, 가정용 기기제조업) 기업 및 관련 기업체 부설 연구소, 국공립 전기 관련 연구소 등에서 일한다.

전문대학이나 대학을 졸업한 자를 채용하며, 연구·개발 담당은 석사학위 이상 소지자를 우대하여 채용한다.

 
 
 
 

 

 

전망

향후 10년간 전기기기·제품개발기술자의 일자리는 다소 증가할 것으로 전망된다.

2020-2030 중장기인력수급전망(한국고용정보원, 2021)에 따르면, 전기공학기술자 및 연구원은 2020년 약 38천 명에서 2030년 약 42천 명으로 향후 10년간 4천여 명(1.1%) 증가하는 것으로 나타났다.

전기기기·제품개발기술자의 고용에 큰 영향을 미치는 산업은 전기장비제조업(전동기, 발전기 전기변환·공급·제어장치제조업, 일차전지 및 축전지제조업, 절연선 및 케이블제조업, 전구 및 조명장치제조업, 가정용 기기제조업)으로,통계청 전국사업체조사자료에 따르면 2019년 기준, 전기장비제조업의 사업체 수는 23,238개이고 종사자 수는 265,895명으로 나타났다. 해당 산업의 사업체 수는 201522,363, 201622,699, 201722,841, 201823,043개, 2019년 2만 3,238개로 증가한 것이며, 종사자수 역시 2015년 24만 8,239명, 2016년 25만 3,430명, 2017256,654, 2018262,428, 2019265,895명으로 꾸준한 증가세를 보이고 있다.

한국전력거래소「발전설비현황」 연도별 전력수급실적을 보면, 국내총발전량은 2016년 540,441백만 kWh에서2017553,530백만 kWh, 2018570,647백만 kWh, 2019563,040백만 kWh,2020년이는 2018년 최대치를 정점으로 다소 감소한 수치로, 총 발전량성장률을 봐도 20162.3%에서 2020년에는 1.9%로 감소한 것을 알 수 있다. 판매전력량도유 사한 경향을 보이는데, 2016497,039백만 kWh가 판매되던 전력량은 2017년에는 507,746백만 kWh, 2018526,149백만 kWh, 2019520,499백만 kWh, 2020509,270백만 kWh로2016년에서 2019년까지는 플러스 성장률을 보이다가 2020년에는 2.20%로 감소한 것으로 나타났다. 1인당 전력소비량도 2018년에 10,195 kWh/명으로 가장 많이 판매되다가 2019년과 2020에는 각각 10,039 kWh/명,9,826 kWh/명으로 감소하였다. 다만, 전력판매량이나 소비량이 줄었어도 열효율은 올라가는 경향을 보였다. 201639.79%였던 열효율은 매년 높아져 2020년에는 41.10%로 증가하였고, 이는 전력의 발전, 판매, 소비가 감소했어도 전력의 효율적 사용이 증가하고 있음을 반영한다. 열효율 증가세는 에너지 절감을 위한 다양한 정책과 실천에 기인하는 것으로, 고효율 에너지 등급 전기·전자제품의 개발과 사용의 직접적인 결과이기도 하다. 이처럼 첨단기술의 발전으로 전기·전자제품의 사용은 꾸준히 증가하는 반면, 전력의 사용은 에너지의 효율이 향상됨에 따라 저감 되는 경향을 보일 전망이다.

한편, 한국전력공사「한국전력통계」 적용요금별판매전력량현황을 살펴보면, 판매전력량규모는산업용 전력판매량이 규모가 가장 크고 일반용, 주택용, 농사용, 심야용, 교육용, 가로등의 순으로 나타났다. 산업용 전력판매량은 2020년 기준 278,660,247 MWh으로2018년 이후 다소 감소하고 있지만, 전체 판매전력량의 50% 이상을 차지할 정도로 막대한 규모이며 국내 기업의 생산 및 투자규모, 생산자동화 등을 가늠하는 주요 지표에 해당한다.

주택용 전력은 2016년 68,056,786 MWh에서 2020년 76,303,405 Mkh로 증가하였는데, 이는 가정 내 전력소비 증가세를 반영한다. 한편, 2020년 코로나19 팬데믹의 영향으로 일상의 많은 부문이 오프라인에서 온라인으로 전환되는 디지털 대전환 시대를 맞으면서 가정에서의 전력사용량과 전기·전자제품의 사용은 계속해서 증가하는 추세를 보일 전망이다.

향후 편리한 생활을 원하는 소비욕구 증대와 생산시설의 자동화 등으로 신기술을 적용한 전기 제품을 연구하고 개발하는 기술자의 수요는 증가할 것으로 보인다. 또한 1인 가구 및 노인인구의 증가 등으로 전기·전자제품의 수요가 늘어나고, 인공지능과 사물인터넷 기술이 적용된 제품의 이용이 일반화되면서 관련 제품을 개발하기 위한 기업의 투자가 확대될 것으로 보인다. 한편, 2020년 시작된 코로나19 팬데믹 현상으로 비대면 사회로 전환되고 비대면 업무와 생활이 익숙해지면서 디지털 문화가 확대되고 있으며, 이에 따라 비대면에 적합한 전기·전자기기 및 관련  제품의 수요가 늘면서 전기공학기술자의 인력 수요도 증가될 전망이다. 또한 ESG 경영과 관련 하여 친환경 전력생산 및 소비에 대한 정부, 기업, 소비자의 관심이 증대되고 있어 이에 적합한 전기기기 및 제품 개발을 위한 일자리가 늘어날 것으로 보인다.

종합하면, 인공지능 및 사물인터넷 같은 신기술이 적용되는 새로운 제품등에 대한 기대수요증가, 친환경 전력생산에 대한 기업과 정부의 관심 증대 등이 긍정적인 요인으로 작용하여 전기기기·제품개발기술자의 일자리는 향후 10년간 다소 증가할 것으로 전망된다.

반응형