직업의 세계

한국고용직업분류 (8831 가구 제조ㆍ수리원, 8832 가구 조립원, 8833 목제품 제조원, 8841 공예원)

하루하루77 2025. 9. 13. 09:06
728x90

 

 

한국고용직업분류에 대해서 알아보려고 합니다.

 

한국고용직업분류는 고용 관련 행정 DB나 통계조사자료의 결과를 집계하고 비교하기 위한 통계 목적으로 활용되고 있습니다.

 

또한 공공 부문의 취업알선 업무에 활용되며 (고용직업분류를 취업알선에 맞게 확장하여 취업알선직업분류로 활용 중),

 

국가직무 능력표준(NCS), 직업훈련, 국가기술자격, 직업정보 제공, 진로지도 등 고용 실무 전반의 기본 분류 틀로서 활용되고 있다고 합니다.

 

오늘은 한국고용직업분류 8831 가구 제조ㆍ수리원, 8832 가구 조립원, 8833 목제품 제조원, 8841 공예원에 대해서 살펴봅시다.

 

 

한국고용직업분류
한국고용직업분류

 

 

 

 

 

 

 

 

 

8831 가구 제조ㆍ수리원

다양한 수공구와 목공기계를 사용하여 장롱, 책상, 식탁, 의자, 침대 등 각종 가구를 제작하고 수리하는 업무를 한다.

 

 

주요 업무

ㆍ 가구 제조의 전 공정을 담당하며 드라이버, 동력공구, 아교 등을 이용하여 손잡이, 경첩, 걸쇠 등의 부착물을 붙인다.

ㆍ 가구 부분품을 가구 조립기에 장착하여 조립하거나 기타 수동공구를 사용하여 조립한다.

ㆍ 완성 제품이 제작명세서와 일치하는지 확인한다.

 

 

 

분류 시 유의사항

ㆍ ‘8831 가구 제조ㆍ수리원’은 기능원(Craft)으로서 가구공방 등에서 가구 제작의 전 과정을 수행하거나 가구 수리를 전문으로 하는 특징이 있으며, ‘8832 가구조립원’은 가구공장 등에서 각 공정별로 가구부분품 재단, 가공, 조립, 사상, 도장, 부속물 부착 등의 업무를 분담하여 일하는 경우가 많다.

 

 

 

 

직업 예시

ㆍ가구검사원

ㆍ가구리폼원

ㆍ가구목공

ㆍ가구수리원

ㆍ수작업가구제조원

 

 

 

표준직업분류 연계 코드 : 7302 가구 제조 및 수리원

 

 

 

 

 

 

 

 

8832 가구조립원

가구공장 등에서 장롱, 책상, 사무용가구, 주방가구 등을 조립하기 위해 정해진 공정 단계에 따라 가구부분품을 재단, 가공하고, 가구부분품을 가구조립기에 장착하여 조립하거나 기타 수동공구를 사용하여 조립하며, 드라이버, 동력공구, 아교 등을 이용하여 손잡이, 경첩, 걸쇠 등의 부착물을 붙인다.

 

 

주요 업무

ㆍ 가공된 가구 부분품을 가구조립기에 장착하여 조립한다.

ㆍ 드라이버, 동력공구, 아교 등을 이용하여 손잡이, 경첩, 걸쇠 등의 부착물을 붙인다.

 

 

 

직업 예시

ㆍ가구부품가공원

ㆍ가구부품조립원

ㆍ금속가구조립원

ㆍ주방가구조립원

 

 

 

표준직업분류 연계 코드 : 8912 가구 조립원

 

 

 

 

 

 

 

 

 

 

 

 

 

8833 목제품 제조원

목재 케이스, 목상자 등 목재 관련 제품을 가공, 제조하는 업무를 한다.

 

 

주요 업무

ㆍ 재료의 형태, 치수 및 요구되는 기계가공을 결정하기 위하여 도면과 명세서를 검토,분석한다.

ㆍ 가공할 재료 위에 참고점과 절단선을 표시한다.

ㆍ 목재를 필요한 규격으로 절단하여 구멍을 뚫고 대패질하며 접착, 조립하기 위하여 다양한 수공구와 목공기계를 조정, 조작한다. ㆍ 완성 제품이 제작명세서와 일치하는지 검사한다.

ㆍ 부품, 완성품의 표면 결함을 수선하고 고가구를 복원하며 손잡이, 경첩, 걸쇠 등을 부착한다.

 

 

 

직업 예시

ㆍ목드럼제작원

ㆍ목재파레트제작원

ㆍ목함제작원

ㆍ포장용목재상자조립원

ㆍ목재검사원

ㆍ목재등급원

ㆍ목재선별원

 

 

 

표준직업분류 연계 코드 : 7301 목제품 제조 관련 종사원

 

 

 

 

 

 

 

8841 공예원

손 작업이나 수동 또는 전동공구를 이용하여 개인용 또는 장식용의 석재, 목재, 흙, 종이 등의 재료를 사용하여 공예품을 제작하는 업무를 한다.

 

 

주요 업무

ㆍ 갓장이 : 말총과 대나무를 원재료로 하여 갓을 만든다.

ㆍ 나전장(螺鈿匠) : 전복껍데기의 외피를 숫돌에 갈아 내피만을 종잇장처럼 만들어 자개를 만들고 자개로 무늬를 놓은 후 목재에 옻칠을 한다.

ㆍ 한산(韓山) 모시짜기 : 모시풀 줄기의 껍질을 벗겨 희게 탈색시킨 다음 치아로 일일이 머리카락 같은 실올로 째낸 후 모시를 짠다. ㆍ 매듭장 : 명주실을 염색하여 만든 끈목을 가지고 굵고 가는 두 가닥으로 늘어뜨려서 각종 모양을 만든 매듭으로 옷을 장식한다.

ㆍ 샛골나이 : 재래종 목화를 채취하여 활(綿弓)로 솜을 트고 물레로 실을 가늘게 뽑아 내어 베틀에서 고운 무명을 짠다.

ㆍ 낙죽장(烙竹匠) 불에 달군 인두로 대나무 표피를 지져서 무늬를 새긴 낙죽으로 담뱃대나 부채, 베개 등의 겉모양을 장식한다.

ㆍ 돌실나이 : 대마(大麻)를 베어 낸 즉시 삼굿에 쪄서 껍질을 벗긴 후 껍질을 손톱으로 가늘게 째낸 뒤 한 올, 한 올 잇는 삼 삼기를 하여 물레로 실을 낸다.

ㆍ 조각장(彫刻匠) : 금ㆍ은의 기물이나 장신구의 표면에 미세한 정(鐵鋌)으로 새겨 다져 내거나 홈을 판 자리에 금선(金線), 은선(銀線), 오동선(烏銅線) 등을 넣어 갖가지 무늬를 놓는다.

ㆍ 악기장(樂器匠) : 거문고, 가야금, 북, 장구 등 악기를 만든다.

ㆍ 궁시장(弓矢匠) 강력한 탄력을 요하는 부분에 대나무를 넣고 그 안팎에 쇠뿔과 쇠심줄을 부레풀로 접착시켜 활(弓)을 만든다.

ㆍ 채상장(彩箱匠) 대나무에서 얇고 좁게 대 올을 떠내어 각양각색으로 물들인 후 비단을 짜듯 무늬를 만들어 가며 엮어 소형 상자(箱子)를 만든다.

ㆍ 장도장(粧刀匠) : 은장도(銀粧刀) 외에도 금이나 수정, 상아 등을 사용하여 장도를 만든다.

ㆍ 두석장(豆錫匠) : 목가구나 목조건물의 결합 부분에 부착하는 금속재 장식을 만든다.

ㆍ 백동연죽장(白銅煙竹匠) : 합금(合金), 단조(鍛造), 땜질로 이어지는 일련의 섬세한 과정을 거쳐 담뱃대를 만든다.

ㆍ 망건장(網巾匠) : 말총, 사람의 머리카락 등을 이용하여 망건을 만든다.

ㆍ 탕건장(宕巾匠) : 말총, 사람의 머리카락 등을 이용하여 탕건을 만든다.

ㆍ 유기장(鍮器匠) : 구리에 주석을 넣은 향동(響銅), 주동(鑄銅) 등의 놋쇠 그릇을 만든다.

ㆍ 입사장(入絲匠) : 철물의 표면에 은사(銀絲)를 덧붙인다.

ㆍ 자수장(刺繡匠) : 명주실에 다양한 색 염료를 입혀 장식용이나 의복용으로 사용되는 수를 놓는다.

ㆍ 명주(明紬)짜기 : 누에고치에서 뽑은 실로 짠 피륙을 면주(綿紬) 혹은 명주로 옷을 짠다.

ㆍ 바디장 : 직조기구인 베틀에 들어가는 부속품인 바디를 만든다.

ㆍ 침선장(針線匠) : 감침질하는 법, 홈질하는 법, 박음질하는 법, 상침뜨는 법, 휘감치는 법 등 여러 가지 기법으로 바느질한다.

ㆍ 전통장(箭筒匠) : 대나무 몸통 속의 마디를 제거하고 문양을 조각하며 마개와 덮개, 끈을 달고 필요한 칠을 하여 화살통을 만든다. ㆍ 옹기장(甕器匠) : 장독대에 설치되는 저장 용기인 독과 항아리를 만든다.

ㆍ 소반장(小盤匠) : 음식을 놓고 먹는 음식상 또는 밥상을 만든다.

ㆍ 옥장(玉匠) : 전통적인 기법으로 옥(玉)을 장신구, 장식용으로 만든다.

 

 

 

직업 예시

ㆍ건축모형제작원

ㆍ국악현악기제조원

ㆍ금속공예가

ㆍ나전칠기도장공

ㆍ도자기공예원

ㆍ돗자리제조원

ㆍ목공예원

ㆍ상감원

ㆍ석공예원

ㆍ석제품수공예원

ㆍ섬유공예가

ㆍ양초수공예원

ㆍ예술제본가

ㆍ음식물모형제작원

ㆍ자개세공원

ㆍ장난감모형제작원

ㆍ조화제작원

ㆍ종이공예원

ㆍ죽제품제조원

ㆍ축소모형설치원

ㆍ칠공예가

ㆍ한지제품수공예원

ㆍ화훼장식가

 

 

표준직업분류 연계 코드 : 7911 공예원

 

 

 

 

한국고용직업분류 (8821 목재 가공기계 조작원, 8822 펄프ㆍ종이 제조장치 조작원, 8823 종이제품 생산기계 조작원, 8829 기타 목재ㆍ종이 기계 조작원)

 

한국고용직업분류 (8821 목재 가공기계 조작원, 8822 펄프ㆍ종이 제조장치 조작원, 8823 종이제품 생

한국고용직업분류에 대해서 알아보려고 합니다. 한국고용직업분류는 고용 관련 행정 DB나 통계조사자료의 결과를 집계하고 비교하기 위한 통계 목적으로 활용되고 있습니다. 또한 공공 부문의

nevermind.tistory.com

 

반응형