지난 포스팅에 이어 문장 부호를 정확하게 사용하는 방법에 대해서 계속 알아봅니다. 문장 부호는 글에서 문장의 구조를 드러내거나 글쓴이의 의도를 전달하기 위하여 사용하는 부호입니다. 본자료는 문체부 고시 '한글맞춤법'에서 찾아보았고, 오늘은 작은따옴표, 소괄호, 중괄호, 대괄호 사용법에 대해서 봅니다.
1. 작은따옴표(‘ ’)
(1) 인용한 말 안에 있는 인용한 말을 나타낼 때 쓴다.
그는 “여러분! ‘시작이 반이다.’라는 말 들어 보셨죠?”라고 말하며 강연을 시작했다.
(2) 마음속으로 한 말을 적을 때 쓴다.
나는 ‘일이 다 틀렸나 보군.’ 하고 생각하였다.
‘이번에는 꼭 이기고야 말겠어.’ 호연이는 마음속으로 몇 번이나 그렇게 다짐하며 주먹을 불끈 쥐었다.
2. 소괄호(( ))
(1) 주석이나 보충적인 내용을 덧붙일 때 쓴다.
니체(독일의 철학자)의 말을 빌리면 다음과 같다.
2014. 12. 19.(금)
문인화의 대표적인 소재인 사군자(매화, 난초, 국화, 대나무)는 고결한 선비 정신을 상징한다.
(2) 우리말 표기와 원어 표기를 아울러 보일 때 쓴다.
기호(嗜好), 자세(姿勢) 커피(coffee), 에티켓(étiquette)
(3) 생략할 수 있는 요소임을 나타낼 때 쓴다.
학교에서 동료 교사를 부를 때는 이름 뒤에 ‘선생(님)’이라는 말을 덧붙인다.
광개토(대)왕은 고구려의 전성기를 이끌었던 임금이다.
(4) 희곡 등 대화를 적은 글에서 동작이나 분위기, 상태를 드러낼 때 쓴다.
현우: (가쁜 숨을 내쉬며) 왜 이렇게 빨리 뛰어?
“관찰한 것을 쓰는 것이 습관이 되었죠. 그러다 보니, 상상력이 생겼나 봐요.” (웃음)
(5) 내용이 들어갈 자리임을 나타낼 때 쓴다.
우리나라의 수도는 ( )이다.
다음 빈칸에 알맞은 조사를 쓰시오.
민수가 할아버지( ) 꽃을 드렸다.
(6) 항목의 순서나 종류를 나타내는 숫자나 문자 등에 쓴다.
사람의 인격은 (1) 용모, (2) 언어, (3) 행동, (4) 덕성 등으로 표현된다.
(가) 동해, (나) 서해, (다) 남해
3. 중괄호({ })
(1) 같은 범주에 속하는 여러 요소를 세로로 묶어서 보일 때 쓴다.
(2) 열거된 항목 중 어느 하나가 자유롭게 선택될 수 있음을 보일 때 쓴다.
아이들이 모두 학교{에, 로, 까지} 갔어요.
4. 대괄호([ ])
(1) 괄호 안에 또 괄호를 쓸 필요가 있을 때 바깥쪽의 괄호로 쓴다.
어린이날이 새로 제정되었을 당시에는 어린이들에게 경어를 쓰라고 하였다.[윤석중 전집(1988), 70쪽 참조]
이번 회의에는 두 명[이혜정(실장), 박철용(과장)]만 빼고 모두 참석했습니다.
(2) 고유어에 대응하는 한자어를 함께 보일 때 쓴다.
나이[年歲] 낱말[單語]
손발[手足]
(3) 원문에 대한 이해를 돕기 위해 설명이나 논평 등을 덧붙일 때 쓴다.
그것[한글]은 이처럼 정보화 시대에 알맞은 과학적인 문자이다.
신경준의 ≪여암전서≫에 “삼각산은 산이 모두 돌 봉우리인데, 그 으뜸 봉우리를 구름 위에 솟아 있다고 백운(白雲)이라 하며 [이하 생략]”
그런 일은 결코 있을 수 없다.[원문에는 ‘업다’임.]
'알아볼까?' 카테고리의 다른 글
올바른 문장부호 사용법4 (겹낫표,겹화살괄호,홑낫표,홑화살괄호,줄표,붙임표) (0) | 2023.05.24 |
---|---|
기저귀 바우처 사용처(뜻, 분유, 신청법) (0) | 2023.05.23 |
띄어쓰기 바르게 하는법(한글 맞춤법,예시) (0) | 2023.05.21 |
올바른 문장부호 사용법2 (가운뎃점,쌍점,빗금,큰따옴표) (1) | 2023.05.21 |
올바른 문장부호 사용법 (마침표,물음표,느낌표,쉼표) (0) | 2023.05.20 |