직업의 세계

직조기조작원(하는일,업무환경,되는법,학과,전망)

하루하루77 2023. 5. 6. 06:50
반응형

제직용 또는 편직용 원사(실)로 직물이나 편물을 생산하기 위하여 제직기 및 편직기 등의 장비를 조작하는 직조기조작원!!

 

직조기조작원이 하는 일, 업무환경, 되는 법, 관련학과, 전망 등 그들의 세계에 대해서 알아보려고 한다. 본자료는 고용노동부와 한국고용정보원에서 발간한 2022 한국직업전망에서 찾아보았다.

 

 

 

직조기조작원-하는일-업무환경-되는법-학과-전망
직조기조작원의 세계

 

 

 

 

 

 

 

 

 

 

 

하는 일

제직기조작원은 직물을 제작하기 위하여 원사(실)의 종류, 제조직물의 조직과 무늬정보가 포함된 명세서를 검토해야 한다. 경사와 위사로 사용될 원사()를 준비하고 경사를 정경 빔에 감아 설치한다. 직조기를 조작하여 경사와 위사를 서로 교차시켜 직물을 짜고, 직조 상태(직물의 무늬, 무게), 기계의 속도 등을 확인한다. 실의 강도를 높이고 제직 중 마찰로 끊어짐을 방지하기 위하여 실에 풀을 입히는 호부기를 조정, 조작한다. 준비된 경사를 통경대에서 종광과 바디에 한 가닥씩 끼우고두 사람이 마주 앉아 통경바늘을 사용하여 꿴다. 위사용 원사를 목관에 감고 직기에 공급한다. 직기를 가동하고 직물의 무늬, 무게, 속도 등 제반 조건을 확인하고 끊어진 실을 연결하며, 기계의기계의 기능 장애를 점검, 조정한다. 경사를 다 사용하면 남은 부분과 새로운 빔을 연결한다.

편직기 조작원은 자동 또는 수동 편직 기를 조작하여 메리야스, 스웨터, 양말, 레이스 등의 편직물을 짠다.

편직기조작원은 편직용 실을 공급하고, 짜고자하는 직물의무늬,코수,두께등의제반요건을 확인하여 기계를 작동시키며 편직 속도를 조절한다. 편직기 주위를 순회하며 편직물에 구멍, 끊어진 실퇴색 등의 결함이 있는지 검사하고, 끊어진 실을 이어주고 소모된 실은 새것으로 교환한다.또한 기계의 간단한 결함을 고치는 작업도 수행한다.

직조기 조작원의 제조 분야는 메리야스, 스타킹, 양말, 카펫, 리본, 타이어, 레이스 등 다양하다. 세 폭 직물직조기 조작원은. 리본이나 테이프 등 폭이 좁은 직물을 일정한 폭과 길이로 짜는 직조기를 조작한다. 기계를 관찰하면서 소모된 위사꾸러미를 새 것으로교환하고, 이상이 있는 북이나 장력스프링,북귀 등을 손공구를 사용하여 갈아끼운다. 실이끊어지는 등의 문제가발생하면 직조기를 자동으로 정지시키는 자동정지장치가 부착된 직조기를 조작하기도한다. 경사를뽑아내는 통경원의일을 하기도 한다.

타이어코드직조기 조작원은 타이어코드 섬유 가닥들을 날실로 사용하여, 날실 가닥 사이에 면사등의 씨실로 느슨한 타이어코드 직물을 짜는 직조기를 조작한다. 작업지시서를 확인하고 실에 꼬임이 부여된 날실을 준비하며, 날실이나 씨실의 끊어짐이나 직조용 기계의 이상 등과 같은 정지원인을 알아내기 위해 직조기를 검사한다. 직조 작업 중 불량품이 있을 경우 제거하고, 날실이 끊어져 있을 경우에는 자동연결장치나 코바늘을 이용하여 잇는다. 씨실이 끊어진 경우에는 끊어진 씨실을 제거하는 등의 기계를 관찰하며 직조상의 결함을 알아낸다. 타이어코드 직물이 일정길이로 직조가 끝나면 생산이력을 기록하고 직조기에서 보관장으로 이동한다.

 
 

 

 
 
 
 

업무환경

직조기 조작원의 경우, 일반적으로 22 교대제 혹은 33 교대제 근무를 한다.

제직 및 편직을 위한 기계들이 고속으로 가동되기에 작업 중 위험도는 높은 편이다.

 

또한 기계작동으로 인한 소음이 심한 편이며,작업환경 내의 공기 질이 좋지 않은 편이다.

 
 
 
 
 
 
 
 
 
 

되는 법

직조기조작원이 되기 위해서는 특성화고등학교나 직업훈련기관에서 관련분야를 전공하는 것이 유리하다.

자격증이 꼭 필요하지는 않으나 섬유 관련 자격증이 있으면 취업 시 우대받을 수 있다.

 

직조기 조작원은 대부분 채용 후 사내 직무교육을 받거나 숙련자를 보조하면서 기능을 습득한다.

 

이들은 섬유제품 제조 업체나 의류 제조업체에서 주로 근무한다.

 
 
 
 
 
 
 
 
 
 
 
 

-관련 학과-

섬유공학과, 섬유산업학과 등

 
 
 

 

 
 
 
 

-관련 자격-

설비보전기능사, 섬유산업기사

 
 
 
 
 
 
 
 
 
 
 
 

 

 

 

 

 

 

 

 

 

 

 

-적성-

직조기 조작원은 공장의 기계를 가동시키는 업무를 수행하기 때문에 스스로 일할 수 있는 독립적이고, 맡은 책무를 완수할 수 있는 신뢰성이 있는 사람에게 적합하다.

또한 기계 조작 및 섬유운반 등을 위한 체력적인 강인함도 요구된다.

 

장비의 일상적인 유지보수를 하고 언제 어떤 종류의 조치를 취해야 하는지 알아야 하며, 기계가 잘 작동하는지 확인할 수 있도록 꼼꼼하고, 시력이시력이 좋은 사람에게 유리하다.

 
 
 
 
 
 
 
 
 
 
 
 
 

-경력개발-

 

직조기 조작원은 일반적으로 특성화고등학교, 직업전문학교 및 전문대학 등을 졸업하고 채용기업에 입사하거나 인터넷 등을 통하여 직접 채용되는 경우도 있다.

숙련공을 보조하면서 일을 배우다가 정식입사하는 경우도 있다.

 

경력이 쌓이면 각 공정을 책임지는 조장이나 반장, 전체공정을 감독하는 공장장으로 승진하게 된다.

 

비교적 단순한 업무이기에 전직하는 것이 쉽지 않은 편이다.

 
 
 
 
 
 
 
 
 

 

전망

향후 10년간 직조기 조작원의 일자리는 다소 감소할 것으로 전망된다.

 2020-2030 중장기인력수급전망(한국고용정보원, 2021)에 따르면, 직조기 및 편직기 조작원은 2020년2020 약 18천 명에서 2030년 약 15천 명으로 향후 10년간 4천 명(연평균 2.2%) 정도로 감소하는 것으로 나타났다.

 

통계청의전국사업체조사자료에따르면직조기조작원이주로종사하는직물직조및직물제품제조업의 현황을 살펴보면 업체 수와 종사자 수가 감소하고 있어 관련 산업이 정체되었음을 보여주고있다.직물직조및직물제품제조업의사업체수는201512,208개에서201911,465개로최근 5년간 743개 감소하였고, 종사자 수는 201565,743명에서 20196212명으로 최근 5년간5,531명 감소하였다.

통계청의 전국사업체조사자료에 따르면 직조기 조작원이 주로 종사하는 편조원단 제조업의 현황을 살펴보면 업체 수와 종사자 수가 감소하고 있어 관련 산업이 정체되었음을 보여주고 있다. 편조원단. 제조업의 사업체 수는 20151,232개에서 2019964개로 최근 5년간 268개 감소하였고, 종사자 수는 20156,738명에서 20195,570명으로 최근 5년간 1,168명 감소하였다.

 생산시설의 자동화 및 대형화와 생산라인의 해외이전 등으로 직조기 및 편직기 조작원의 향후전망은 다소 감소할 것으로 예상된다. 국내의 섬유 관련 제조업체들은 생산시설 및 공장시스템을 무인 자동화하여 소수의 인력으로 제품생산이 가능한 체제를 갖추기 위해 노력하고 있어 생산량은 증가하고 있지만 관련 인력에 대한 수요는 지속적으로 감소하고 있다. 또한 국내 인건비가상승함에 따라 생산단가에 있어 경쟁력이 떨어져 인건비가 싼 베트남 등으로 생산공장을 이전해왔기에 국내고용에 부정적인 요인이 되고있다. 앞으로 생산시설의 자동화 및 대형화와 생산 라인의 해외이전 등은 향후에도 지속될 것으로 전망된다.

그러나 정부 차원에서 국내 섬유산업이 친환경, 디지털 방식으로 전환하는 데 있어 세계 시장에서의 경쟁력을 높일 수 있도록 섬유패션시장 한국판 뉴딜 실행전략을 발표하였다. 섬유패션산업에 14천억 원을 투자하여 2026년까지 IT 기술을 활용한 섬유 생산 체계를 구축하도록 지원할 예정이다. 또한 최근 코로나19로 인하여 베트남 공장이 락다운 되는 등의 경험으로 의류제조기업들 사이에서도 국내로의 리쇼어링이 주목받고 있다. 원가절감을 위해 베트남 등으로 생산기지를 모두 이전해 둔 경우, 해외 상황에 따라 물량 수급이 어려워질 수 있기 때문에 리스크관리 차원에서 국내 생산공장을 활용하는 방안을 마련한다면 직조기 조작원의 일자리도 증가할 가능성이 있다.

종합하면, 정부의 지원 및 리쇼어링 등 긍정적인 영향도 있으나 과거부터 지속되어 온 해외로의 공장 이전, 공장 자동화 등으로 인하여 향후 10년 동안 직조기 조작원의 고용은 다소 감소할 것으로 예상된다.

 
반응형