직업의 세계

한국고용직업분류 (7014 콘크리트공, 7015 건축 석공, 7016 건축 목공)

하루하루77 2024. 11. 28. 14:55
728x90

 

 

 

한국고용직업분류에 대해서 알아보려고 합니다.

 

한국고용직업분류는 고용 관련 행정 DB나 통계조사자료의 결과를 집계하고 비교하기 위한 통계 목적으로 활용되고 있습니다.

 

또한 공공 부문의 취업알선 업무에 활용되며 (고용직업분류를 취업알선에 맞게 확장하여 취업알선직업분류로 활용 중),

 

국가직무 능력표준(NCS), 직업훈련, 국가기술자격, 직업정보 제공, 진로지도 등 고용 실무 전반의 기본 분류 틀로서 활용되고 있다고 합니다.

 

오늘은 7014 콘크리트공, 7015 건축 석공, 7016 건축 목공에 대해서 살펴봅시다.

 

 

한국고용직업분류
한국고용직업분류

 

 

 

 

 

 

 

 

 

7014 콘크리트공

건축, 토목 등의 콘크리트 공사 시 시멘트, 모래, 자갈, 물 등을 배합하여 콘크리트 혼합물을 직접 만들거나 레미콘차로 운반되어 온 콘크리트 혼합물을 포설하여 다지고 마무리한다.

 

 

주요 업무

ㆍ 콘크리트반장이나 작업지시서에 따라 작업공정을 파악한다.

ㆍ 철판 위에 시멘트, 모래, 자갈을 일정 비율로 배합하여 섞고 물을 부어넣은 콘크리트 혼합물을 손차나 리어카를 이용하여 작업현장으로 운반한다.

ㆍ 콘크리트를 거푸집이나 포설 위치에 깐다. 기중기에 버킷을 걸어주고 수신호를 보내 버킷을 이동시킨다.

ㆍ 버킷의 문을 열어 운반되어 온 콘크리트를 포설한다.

ㆍ 콘크리트펌프의 호스를 포설 위치에 정위치시킨다.

ㆍ 포설되거나 충전된 콘크리트를 평탄하게 깔고 고른다.

ㆍ 포설된 콘크리트에 기공을 없애기 위하여 수동 다짐대나 바이브레이터로 액상 콘크리트를 다진다.

ㆍ 거푸집에 콘크리트 포설과 응고 과정에서 발생하는 콘크리트 구조물의 요철 부위를 확인하고 망치로 제거하거나 연마기로 갈아 없앤다.

ㆍ 구멍이 난 부위나 떨어져 나간 모서리를 보수하기 위하여 시멘트가루나 콘크리트 표면의 마무리 작업을 한다.

ㆍ 산업시설, 주택, 농장, 아파트 경계에 콘크리트를 사용하여 울타리를 설치하기도 한다.

ㆍ 테라조원의 경우에는 내구력과 미관을 높이기 위해서 건축물의 벽, 바닥, 계단 등에 백시멘트, 종석, 안료 등의 혼합액을 포설하여 바른다.

 

 

직업 예시

ㆍ견출공

ㆍ그라우팅원

ㆍ기성콘크리트조립공

ㆍ바닥연마공

ㆍ조립콘크리트설치원

ㆍ콘크리트바이브레이터공

ㆍ콘크리트피시조립원

 

표준직업분류 연계 코드 : 7822 콘크리트공

 

 

 

 

7015 건축 석공

토목구조물이나 건축물의 견고성과 미관을 위해 화강암, 대리석 등 석재를 도면의 치수에 따라 절단ㆍ가공하고, 재단된 석재를 지정된 위치에 쌓아 고정한다.

 

 

주요 업무

ㆍ 가공된 돌을 지정된 위치, 번호, 크기, 형태, 색상에 따라 선별한다.

ㆍ 공법에 맞추어 시공 면에 모르타르를 바르거나 제작된 앵글을 조립한다.

ㆍ 손 또는 인양장비를 이용하여 가공 석재를 들어 올려 모르타르면 위에 붙이거나 앵글에 고정시키고 망치로 두들겨 면을 고르게 한다.

ㆍ 흙손을 사용하여 돌의 연결 부분에 모르타르나 치장용재를 채운다.

ㆍ 수평기, 측연추 등을 사용하여 석재의 정위치 상태와 무늬, 형태를 점검한다.

ㆍ 수동공구와 동력공구를 사용하여 석재를 시공에 편리하도록 재단, 절단, 가공 하기도 한다.

 

 

용어 해설

ㆍ 할석(割石)은 큰 돌을 소정의 규격에 맞도록 절단하는 것을 말한다.

ㆍ 브레이커(breaker)는 기계식 왕복 해머로 연속적으로 타격력을 가해 암석, 콘크리트 등을 파쇄하도록 한 공구의 총칭이다.

ㆍ 연마공은 인조석이나 테라조의 표면을 인력이나 기계로 물갈이하여 광택이 나도록 하는 기능공이다.

ㆍ 호안 석공은 하천의 유수에 의한 침식에 대해 하안(河岸)이나 제방을 보호하는 공작물을 만들기 위해 석재를 쌓는 기능공이다.

 

 

 

직업 예시

ㆍ석공

ㆍ석축공

ㆍ호안석공

 

 

표준직업분류 연계 코드 : 7823 건축 석공

 

 

 

 

 

 

 

 

 

 

 

 

7016 건축 목공 건축물

내ㆍ외부의 각종 공사에 필요한 목재를 가공ㆍ설치하고 수리하는 일을 한다. 이 직종 분류에 속하는 전통건물 건축원은 한식건물을 전통적인 기법으로 신축 또는 보수한다.

 

 

주요 업무

ㆍ 콘크리트 타설 또는 흙막이 공사를 위하여 합판, 각재 및 판재 등을 사용하여 거푸집(형틀)을 제작ㆍ설치한다.

ㆍ 건설현장에서 중골조의 목구조물을 제작ㆍ설치한다.

ㆍ 건축물 내부의 장식, 방음, 실용성을 목적으로 방음설비, 칸막이, 천정, 목재장식품 등을 제작ㆍ설치한다.

ㆍ 전통건물 건축원은 전통적인 건축기법으로 대, 건초, 짚, 갈대, 진흙, 판자, 나무 또는 나뭇잎과 같은 재료를 사용하여 가옥, 마구간 등과 같은 구조물을 건축, 개조, 보수하는 등의 업무를 수행한다.

 

 

분류 시 유의사항

ㆍ 문화재보존원에 속한 문화재수리기술자와 문화재수리기능자는 여러 전문 분야에 따라 나뉘는데, 그 중 목조건조물이나 창호, 닫집 등을 대상으로 건축 목공일을 하는 대목수, 소목수, 드잡이공 등은 ‘7016 건축 목공’으로 분류한다.

 

 

 

용어 해설

ㆍ 형틀(forms)은 거푸집이라고도 하는데, 콘크리트 구조물을 소정의 형태 및 치수로 만들기 위하여 일시 설치하는 구조물로, 재료에 따라 구분하면, 합판, 경질섬유판, 합성수지, 알루미늄 패널(알루미늄폼, 알폼), 강판(강재거푸집) 등을 사용하여 만든다.

ㆍ 유로폼은 유럽에서 규격화한 폼(형틀, 거푸집)으로 국내 건설현장에서 가장 흔하게 사용된다. 갱폼은 재질과 상관없이 타워크레인이나 중장비로 인양하여 반복 사용하는 폼 (형틀, 거푸집)으로 1층부터 높은 층까지 구조적으로 동일하거나 반복되는 형태인 고층 빌딩 외부벽을 만들 때 주로 사용된다.

ㆍ 라이닝폼은 돔 또는 반원형 형태로 콘크리트를 타설하기 위한 이동식 거푸집이다.

 

 

직업 예시

ㆍ강재거푸집설치원

ㆍ갱폼설치원

ㆍ거푸집설치원

ㆍ나무창호목공

ㆍ내장목공

ㆍ대목수

ㆍ대목장

ㆍ도편수

ㆍ드잡이공

ㆍ라이닝폼조립원

ㆍ목조주택건립원

ㆍ소목수

ㆍ외장목공

ㆍ유로폼설치원

ㆍ인테리어목공

ㆍ전통건물 건축원

ㆍ주방가구설치원(붙박이식)

ㆍ콘크리트거푸집제작원

ㆍ통나무집건립원

ㆍ한식목공

ㆍ형틀목공

ㆍ형틀목수

 

 

표준직업분류 연계 코드 : 7824 건축 목공

 

 

 

 

한국고용직업분류 (7011 강구조물 가공원 및 건립원, 7012 경량 철골공, 7013 철근공)

 

한국고용직업분류 (7011 강구조물 가공원 및 건립원, 7012 경량 철골공, 7013 철근공)

한국고용직업분류에 대해서 알아보려고 합니다. 한국고용직업분류는 고용 관련 행정 DB나 통계조사자료의 결과를 집계하고 비교하기 위한 통계 목적으로 활용되고 있습니다. 또한 공공 부문

nevermind.tistory.com

 

반응형