직업의 세계

한국고용직업분류 (131 컴퓨터 하드웨어ㆍ통신공학 기술자)

하루하루77 2024. 6. 20. 14:21
반응형

한국고용직업분류에 대해서 알아보려고 합니다.

 

한국고용직업분류는 고용 관련 행정 DB나 통계조사자료의 결과를 집계하고 비교하기 위한 통계 목적으로 활용되고 있습니다.

 

또한 공공 부문의 취업알선 업무에 활용되며 (고용직업분류를 취업알선에 맞게 확장하여 취업알선직업분류로 활용 중),

 

국가직무 능력표준(NCS), 직업훈련, 국가기술자격, 직업정보 제공, 진로지도 등 고용 실무 전반의 기본 분류 틀로서 활용되고 있다고 합니다.

 

오늘은 131 컴퓨터 하드웨어ㆍ통신공학 기술자에 대해서 살펴봅시다.

 

 

한국고용직업분류
한국고용직업분류

 

 

 

 

 

 

131 컴퓨터 하드웨어ㆍ통신공학 기술자

중앙처리장치, 주변장치, 입력장치 등 컴퓨터의 구성요소인 하드웨어 또는 유ㆍ무선 통신망 등 통신공학 기기, 기술, 네트워크를 연구, 설계, 개발, 시험한다.

 

컴퓨터 하드웨어 및 통신기기의 제조, 설치를 관리ㆍ감독하기도 하며 이와 관련하여 기술 자문과 감리를 수행하기도 한다.

 

이 소분류 직종은 다음의 2개 세분류 직업으로 구성된다.

1311 컴퓨터 하드웨어 기술자 및 연구원

1312 통신공학 기술자 및 연구원

 

 

1311 컴퓨터 하드웨어 기술자 및 연구원

개인, 산업, 군사 또는 과학용 컴퓨터나 컴퓨터 관련 장비를 연구, 설계, 개발하고 시험한다.

 

또한 컴퓨터와 컴퓨터 관련 장비 및 구성 요소의 제조, 설치를 감독하고 검사한다.

 

 

주요 업무

ㆍ 컴퓨터 이용자들의 의견을 듣고 새로운 제품을 개발하거나 제품 업그레이드에 반영한다.

ㆍ 컴퓨터시스템, 주변장치 및 액세서리 등 컴퓨터 하드웨어 제품을 설계하고 개발한 후 전체적인 시스템을 설계하여 설치한다.

ㆍ 프로토타입 단계의 시스템과 보드에 대해 전기적ㆍ환경적 스트레스의 노출에 따른 기능적 작동성을 시험한다.

ㆍ 칩, 조정장치와 같은 컴퓨터 하드웨어의 제조를 감독한다.

ㆍ 구조입력, PC보드 플로어 계획, 고속 신호분석 등을 수행한다.

ㆍ 로직디자인과 시뮬레이션을 이용하여 하드웨어 제품을 검사한다.

ㆍ 개발 프로젝트와 관련된 회의에 참석하고 보고서를 작성하기도 한다.

 

 

직업 예시

ㆍ컴퓨터입출력장치개발원

ㆍ컴퓨터개발자

ㆍ컴퓨터메인보드설계기술자

ㆍ컴퓨터제어시스템개발원

ㆍ컴퓨터하드웨어설계기술자

ㆍ하드디스크개발자

 

표준직업분류 연계 코드 : 2211 컴퓨터 하드웨어 기술자 및 연구원

 

 

 

 

 

 

 

 

 

 

1312 통신공학 기술자 및 연구원

유ㆍ무선 통신망의 설계, 시공, 보전 및 음성, 데이터, 방송에 관계되는 통신방식, 프로토콜, 기기와 설비에 관한 연구, 설계, 분석, 시험, 운용을 한다.

 

또한 통신시스템의 설계, 제작, 설치, 보수, 유지, 관리 업무를 계획하고, 기술자문과 감리를 한다.

 

 

주요 업무

ㆍ 유무선 통신망의 설계, 시공, 보전 및 음성, 데이터, 방송에 관계되는 통신방식, 프로토콜, 각종 통신기와 설비를 연구ㆍ설계ㆍ분석ㆍ시험ㆍ운영한다.

ㆍ 통신시스템의 설계, 제작, 설치, 보수, 유지 및 관리업무를 계획하고 이에 대한 기술자문과 감리를 수행한다.

ㆍ 휴대폰, 인터폰, 전화기, 디지털수신기 등의 통신기기를 제작하기 위해 주파수별ㆍ 용량별 회로도를 설계하고 기기를 개발한다.

ㆍ 통신과 전자적 지식을 활용하여 네트워크, 무선, 유선 통신에 이용하는 교환기, 전송기, VMS장비, SMS장비, ADSL장비, 광통신기기 등 통신장비를 설계하거나 핵심 부품을 개발한다.

ㆍ 통신 관련 지식을 활용하여 CDMA, FDMA, TDMA, OFMDA 등 통신방법에 대한 연구를 수행하고, 통신기술을 이용하여 각종 제품을 제작하기도 한다.

ㆍ 통신망 관련 기술자는 통신망의 병목현상 해소 등을 위해 유무선 통신망을 설계ㆍ구축하고 개선한다.

ㆍ 대용량의 데이터를 초고속으로 실시간 전송하기 위한 시스템, 전송방식, 프로토콜 (컴퓨터, 단말기 등 정보기기 사이의 데이터 교환을 원활하게 하기 위해 정한 통신규칙과 방법인 통신 규약), 송수신시스템 등을 연구하고, 이를 상품화하여 고객에게 서비스할 수 있는지를 테스트한다.

ㆍ 통신시스템의 설계ㆍ제작ㆍ설치ㆍ보수에 관한 기술자문과 감리를 하며, 휴대폰 단말기 설계나 반도체, LCD와 관련한 데이터 전송기술 개발에 참여하기도 한다.

ㆍ 통신 전송시설, 무선시설, 교환기, 선로시설, 구내 위성관제소나 기지국 등의 운용ㆍ관리 계획을 세우고 설치된 통신망이 제대로 운영되는지 지속적으로 확인하며, 노후시설 대체 업무와 운용인력 양성 업무를 수행한다.

ㆍ 단말기, 송수신기 등 유무선 통신장비의 설치를 계획하고, 설치ㆍ유지보수원의 업무를 감독하며 설치된 결과에 대해 감리한다.

 

 

 

직업 예시

ㆍU-city통신망설계기술자

ㆍ광통신기술자

ㆍ네비게이터개발자

ㆍ네트워크통신기기개발자

ㆍ디지털방송장비개발자

ㆍ디지털수신기개발원

ㆍ무선인터넷연구원

ㆍ무선통신기술자

ㆍ방송기술연구원

ㆍ보안시스템기술자

ㆍ사물인터넷개발자

ㆍ위성통신망설계기술자

ㆍ유선통신기술자

ㆍ이동통신기술개발자

ㆍ인공위성관제원

ㆍ전자통신기술자

ㆍ정보통신기술자

ㆍ케이블방송전송선로설비기획원

ㆍ통신공학연구원

ㆍ통신장비기술자

ㆍ통신지능망연구개발자

ㆍ핸드폰회로개발원

 

 

표준직업분류 연계 코드 : 2212 통신공학 기술자 및 연구원

 

 

 

 

한국고용직업분류 (122 생명과학 연구원 및 시험원) (tistory.com)

 

한국고용직업분류 (122 생명과학 연구원 및 시험원)

한국고용직업분류에 대해서 알아보려고 합니다. 한국고용직업분류는 고용 관련 행정 DB나 통계조사자료의 결과를 집계하고 비교하기 위한 통계 목적으로 활용되고 있습니다. 또한 공공 부문

nevermind.tistory.com

 

반응형